그런데 중국 기관지 신징바오 등 다수의 매체들은 월드컵 개막과 동시에 라이브의 디자인과 제조, 수출이 중국 둥관의 한 제조 공장에서 담당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대적인 중국 봉제산업 띄우기에 나선 분위기다. 이 매체들은 23일 라이브 디자인 개발자이자 생산자라고 주장한 광둥처처문화발전유한공사의 운영자 천레이강 씨와의 인터뷰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라이브의 진짜 고향은 중국 둥관’이라는 제목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천 씨는 매체들과의 인터뷰에 잇따라 모습을 드러내 “지난 21일 카타르에 마지막으로 생산한 라이브 봉제 인형을 전량 수출했다”면서 “지난 7월 첫 생산 이후 수십만 개의 인형을 생산했다”고 입을 열었다.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원회와 마스코트 디자인부터 생산까지 지난 2015년부터 무려 7년에 걸쳐 협력, 지난 2월 봉제 인형 디자인에 대한 조직위로부터 최종 합격 통보를 받고 단 5개월 동안 8개 형태의 디자인을 완성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디자인과 3D 모델링, 교정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둥관 현지 공장에서 모든 과정이 진행됐다. 이후 카타르 월드컵을 상징하는 라이브 디자인은 국가원수이자 제8대 국왕인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천 씨는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국왕의 승인을 받는 순간 월드컵 개최권을 획득한 것처럼 행복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라이브는 카타르 전통 의상을 입고 우아한 전통 머리 장식을 하면서도 동시에 축구공을 쫓는 두 날개를 벌리는 순간 최상의 아름다움을 선보이도록 제작됐다”면서 “손과 발이 따로 구성되지 않았지만 그와 무관하게 역동적인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집중해야 했다. 그러면서도 풍부한 표정을 보여주기 위해 또렷한 콧대와 입체적인 얼굴 표정을 중요하게 디자인했다”고 덧붙였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누리꾼들은 “중국산 마스코트, 중국이 만든 경기장, 컨테이너 숙박시설, 중국제 축구공, 중국 기업 스폰서, 중국 축구팬과 중국인 심판 등 중국 축구대표팀을 제외한 모든 것이 다 카타르로 향했다”, “카타르 월드컵에서 중국의 존재감은 압도적이다. 하지만 중국 국가대표팀은 전혀 압도적이지 않았다”는 등의 자조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