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쇠못 몽둥이’로 싸웠던 중국·인도 군인들, 2년 만에 또 난투극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인도의 한 군사전문가가 2020년 6월 인도군과 중국군의 충돌 시, 중국군이 사용한 무기라고 밝힌 쇠못 박힌 몽둥이 사진(왼쪽), 같은 시기 중국군과 인도군의 대치 장면(오른쪽)
인도와 중국 군인들이 국경에서 또 다시 난투극을 벌였다. 양측이 대규모로 충돌한 것은 2020년 이후 2년 만이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더 힌두 등 인도 현지 매체의 12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양측 군인은 지난 9일 오전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州) 인근 타왕 지역 국경에서 충돌했다.

당시 인도군은 충돌 현장에 3개 부대를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의 소식통은 더힌두와 한 인터뷰에서 “현장에 있던 중국군은 600명가량에 달했다”고 전했다.

확대보기
▲ 2020년 6월 인도군이 중국군을 향해 몰려오는 장면
또 다른 소식통은 타임스오브인디아에 “중국군 300~400명이 실질통제선(LCA)를 넘어 침범했고, 인도군이 이를 막아서다 충돌이 발생했다”면서 “양측 군인 중 일부가 골절상 등을 입었다. 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는 인도군은 6명”이라고 말했다. 

다만 충돌 과정에서 총기가 사용됐다는 증언이나 보고는 나오지 않았다.

인도군은 공식 성명에서 “양쪽 군인 일부가 경미하게 다쳤고, 이후 인도군과 중국군 모두 해당 지역에서 철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의 후속 조치로서 자국 군(인도 군)의 사령관이 중국군 측과 회담을 열었다”고 덧붙였다.

인도군은 구체적인 충돌 상황이나 부상자 수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목격자들의 증언에 담긴 부상자 수와 부상 정도 등을 미루어 봤을 때, 2년 전 충돌 때와 비슷한 무기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

인디안익스프레스는 “충돌 당일 새벽 300여 명의 중국군이 인도로 들어왔다. (인도군) 보초가 공격당하는 소리를 나가 70~80명의 인도군이 한밤중 동원돼 침입자를 물리쳤다”고 최초 상황을 전한 뒤 “소식통에 따르면 양측 군은 몇 시간 동안 막대기와 방망이 등으로 격렬하게 싸웠다”고 전했다.

쇠못 박힌 몽둥이·언월도 등장했던 2년 전 충돌2년 전 인도 북부 분쟁지 라다크 지역의 갈완 계곡에서 중국군과 인도군의 충돌이 발생했을 당시, 일각에서는 중국군이 못 수십 개가 박힌 철 몽둥이를 사용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실제 중국군이 사용한 무기는 ‘삼국지’의 관우가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언월도였고, 인도군은 이에 몽둥이 등으로 맞선 바 있다.

확대보기
▲ 2020년 9월 인도 언론이 공개한 중국군 무장 모습 (출처=인도 NDTV)
중국과 인도는 국경 문제로 1962년까지 전쟁을 치렀지만, 국경선을 확정하지 못했다. 이후 실질통제선을 경계로 맞서고 있지만, 분쟁은 끊이지 않았다.

두 나라는 1996년과 2005년 두 차례 합의에 따라 국경지대 2km 안에서는 총기를 휴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우발적인 충돌이 전면전으로 비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총기를 휴대해야 하는 경우에도 탄창을 제거하고 등에 메기로 합의했다. 이 때문에 인도와 중국 군인들은 해당 지역에서 총이 아닌 몽둥이와 창 등으로 무장해 왔다.

확대보기
▲ 2020년 6월 갈완 계곡 중국군과 인도군의 전투에서 중국군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몽둥이. BBC 보도 캡처


확대보기
▲ 2020년 6월 중국군과 인도군의 충돌 장면
2020년 5월 라다크 지역의 판공호수에서는 난투극이, 6월 갈완 계곡에서는 몽둥이 충돌이 벌어졌고 특히 갈완 계곡 충돌에서는 양측 군인 수십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갈등이 극에 달했던 2020년 9월에는 총기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합의마저 지켜지지 않으면서 45년 만에 다시 총성이 울리기도 했다.

특히 이번에 난투극이 벌어진 타왕 지역은 중국이 ‘짱난’(藏南·남티베트)라고 부르는 곳이며, 1683년 여섯 번째 달라이 라마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중국은 티베트 망명 정부의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반체제 인사로 판단하고 타왕 지역에 군부대를 배치하는 등 예민하게 대처해 왔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분쟁과 관련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향후 양국의 보복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2020년 극으로 치달은 충돌 이후 인도는 보복 차원에서 중국산 애플리케이션 수백 개의 사용을 금지하는 동시에, 인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산 휴대전화에 대한 세금을 높였다. 

이에 중국은 자국 견제를 위한 미국 주도의 협의체인 쿼드(미국, 일본, 호주, 인도로 이뤄진 다자간 협력체제)에 반발하며 인도와 미국의 군사훈련을 반대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여중생에 ‘속옷 탈의’ 요구하는 의사들…“거부하면 검사 못
  • 타이어에 덮힌 러 전략폭격기…이유는 미사일 ‘어리둥절’
  • 수십 년 동안 문이나 괴던 돌 알고보니 15억원 가치 ‘호박
  • (속보)푸틴, ‘치명타’ 입었다…러 수도, 우크라 대규모 공
  • 5년 뒤 지구로 돌진하는 초대형 소행성, 충돌 예측 결과 공
  • 최대 길이 8m…심해 3300m서 초희귀 ‘빅핀 오징어’ 포
  • 우크라 포로를 ‘칼’로 처형한 러軍…의미심장한 메시지 남겼다
  • “중국인이다”…아기에 뜨거운 물 붓고 도주한 男 신상 공개
  • 종 다른 원숭이끼리 교배→잡종 탄생 최초 확인…“위험한 신호
  • (속보)“지하 벙커에 숨은 헤즈볼라 새 수장 노렸다”…레바논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