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는 매번 오염수가 안전하고 무해하다고 말한다”고 운을 뗀 뒤 “그러면 왜 (일본) 국내에 방류하거나 농업‧공업용수로 쓰지 않는지 많은 이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은 올해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책임있는 태도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결하라”면서 “아시아 이웃 국가와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채 오염수 해양방류 계획을 감행하는 것은 실망스럽고 불안하다”고 비판했다.
또 “일본은 일관되게 자신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라고 하는데 책임 있는 국가라는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진지하게 국제사회의 우려에 응하고 실질적인 행동으로 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함을 상기시킨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한국이 일본에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한 시찰단을 파견하는 것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왕 대변인은 앞서 8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의 전문가 시찰단 파견이 일본에 오염수 해양 방류를 위한 명분만 제공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나설 한국 전문가 시찰단은 오는 23~24일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다. 다만 일본 정부는 한국 시찰단이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은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전문가 시찰로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한국 내 이해가 깊어질 것을 기대한다”면서도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도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쓴소리를 내놓았다.
반 히데유키 일본 반핵정보자료실 공동대표는 8일 제주지역 6개 야당 공동 주최 ‘일본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대응 국제토론회’에서 “희석하면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잘못됐다”며 “희석하더라도 방출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 방사성물질 방출 총량에 의한 환경축적과 피폭 축적을 평가해야 한다”면서 “일본의 오염수 해양방출은 환경과 인간을 지킬 수 없는 방안이며 국제법 위반이다. 방출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히데유키 대표는 이러한 주장과 함께 일본 정부의 실제 사례를 예로 들었다. 히데유키 대표에 따르면 2022년 1월 26일 일본 후쿠시마현 소마시 이소베 앞바다 수심 40m에서 잡힌 우럭에서 방사성세슘 1천400㏃/㎏이 검출돼 정부가 출하를 제한했다.
그는 “방사성 물질 축적은 어패류 방사능 오염으로 이어지고, 어패류 피폭은 곧 인간 피폭으로 이어진다”면서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우려를 표했다.
숀 버니 그린피스 동아시아 수석 원자력 전문위원도 해당 행사에서 “일본의 과학자, 정치인은 삼중수소(트리튬)가 ’약한 방사선원이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자주 밝혀왔지만 삼중수소를 섭취할 경우 다른 방사성핵종보다 더 강한 방사능을 방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도쿄전력은 축적 효과, 먹이사슬을 통한 영향 등 삼중수소와 기타 방사능 핵종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하지 않았고 유기적으로 결합한 삼중수소가 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