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사건이 벌어진 것은 지난 16일로 당시 북부 도시인 누에바 콘셉시온을 순찰 중이던 경찰이 갱단 공격에 의해 사망했다. 이에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그들(갱단)은 우리 영웅(경찰)을 살해한 것에 대한 값비싼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선포하고 무려 5000명의 군인과 500명의 경찰을 현장에 급파했다.
실제 언론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수많은 중무장한 군인과 경찰들이 현장에 출동해 살인범 색출 작전에 나선 것이 확인된다.
부켈레 대통령은 "누에바 콘셉시온 주변에 보안 경계선을 구축했다"면서 "살인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과 여전히 그곳에 숨어있는 갱단원과 협력자들을 찾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갱단과의 전쟁으로 큰 지지를 받고있는 부켈레 대통령은 지난 2019년 6월 1일 취임했다. 당시 엘살바도르는 2018년 한해에만 10만 명 당 50명 이상의 살인사건 피해자가 발생할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 중 하나였다. 이같은 배경에서 갱단과의 전쟁은 지난해 3월 27일 부켈레 대통령이 30일 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시작됐다.
전날 하루 만에 무려 62건 살인사건이 발생하자 부켈레 대통령은 치안불안의 주범으로 이들 갱단을 지목하고 소탕작전 개시를 선언했다.
비상사태 하에서는 체포·수색영장이나 명확한 증거 없이도 일반인에 대한 구금이나 주거지 등에 대한 임의 수색이 가능하다. 또한 시민 집회·결사의 자유와 통행의 자유도 일부 제한된다. 이 과정에서 최근까지 총 6만 8000여 명의 갱단 조직원들이 무더기로 체포돼 투옥됐다.
그러나 일부 인권단체들은 이같은 강도높은 단속으로 인해 수많은 인권침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만 이같은 비판에도 효과는 명확하게 드러났다. 한때 전세계 최대 살인사건이 벌어졌던 나라가 지난해 10만 명 당 살인 피해자 7.8명으로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대해 엘살바도르 국민들의 여론도 호의적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