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중국 관영 환구망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산둥성(省) 린이시(市), 뤄좡구(區)파출소장 자오 씨가 초고가 롤렉스 시계 등을 애용하는 모습의 사진이 유포됐다.
한 익명의 주민이 촬영한 사진 속 파출소장 자오 씨는 업무 전화 중 수화기를 잡은 손목에 황금색 해외 명품 시계를 착용 중이었다. 해당 제품은 최소 수만 위안에서 수십만 위안까지 호가하는 시계로 구체적인 가격은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 이 여성 파출소장은 평소 출퇴근 시 자신이 소유한 독일 명품 수입 차량 아우디 A8를 이용한다는 제보가 추가로 제기됐다.
더욱이 파출소장의 이 같은 평소 생활 모습이 대중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된 것은 중국 파출소 소속 공무원들이 받는 저가의 임금이 주요 원인이 됐다.
초봉 1500~2500위안(약 28~47만 원) 수준에 불과한 파출소 직원의 박봉 월급에 지난 2020년 출고된 약 79만 위안(약 1억 5000만 원) 상당의 고급 수입차와 명품 시계를 구매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현지 네티즌들의 반응이다.
결국 자오 씨가 착용한 명품 시계와 고가의 수입차는 그가 공무원이라는 권한을 휘둘러 업무상 비위행위를 저지르는 등 검은 뒷돈을 챙겨 마련한 것이라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급기야 논란에 대해 린이시 공안국 경무감찰대가 이 사건에 개입해 검은 뒷돈 의혹이 제기된 자오 씨에 대해 내부 감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파출소장 자오 씨는 현지 매체에게 “수입품을 구매하는 것은 중국법상 분명한 합법적 행위”라면서 “SNS에서 나돌고 있는 공무원 권한 남용과 뒷돈 의혹은 결단코 사실이 아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다만 SNS에 공유된 사진 속 수입 명품 시계의 구매가격을 묻는 매체 기자의 질문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정확한 답변을 거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사건에 대해 현지 매체들이 추가적인 질문을 하고 관심을 갖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사람이 되길 원하지 않으며, 내부 감찰에 대해서는 성실히 조사에 임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그가 롤렉스 시계를 착용해 논란이 된 사진은 현재 SNS 게시물에게 이미 삭제돼 사진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