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지난해 중반부터 러시아 전역의 교도소를 돌며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6개월 간 싸운 뒤 살아 돌아온다면 사면과 자유를 약속한다며 용병을 모집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나 운좋게 계약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용병들도 적지 않다. 이에대해 프리고진은 최근 자신의 SNS채널을 통해 “6월 18일 기준 약 3만 2000명의 사람들이 계약 만료 후 사면돼 귀국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제는 전투 경험까지 갖게 된 죄수 출신 용병들의 갑작스러운 사회 복귀가 낳는 부작용이다.
실제 AP통신은 몇몇 사례를 들어 이에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대표적으로 언급된 범죄자는 이반 로소마킨(28)으로 그는 3년 전 러시아 키로프주(州) 소도시 노비부레츠에서 살인혐의로 징역 10년형을 받고 수감됐다. 그러나 그는 바그너 용병에 자원한 후 무사히 계약을 마쳤으며, 지난 3월 고향으로 돌아와 술에 취해 쇠고랑을 들고 다니며 모두를 죽이겠다고 위협하고 다녔다. 결국 그는 귀향 한 지 열흘도 안돼 노인 율리아 부이스키치(85)를 살해해 체포됐다.
문제는 이같은 사례가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죄수 출신 바그너 용병들이 벌인 살인과 강도, 성폭행 사건 등의 뉴스가 속속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프리고진은 “일반 수감자들의 재범률이 바그너그룹 출신 수감자보다 훨씬 더 높다”면서 “우리와 계약 종료 뒤 귀국한 수감자들이 저지른 범죄는 83건으로 이는 석방된 일반 수감자보다 80배는 적은 수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로이터 통신은 28일 이번 바그너 그룹 무장 반란에 가담했던 용병들 중에는 죄수 출신도 포함되어 있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는 이번 무장 반란 과정에서 소셜미디어에 노출된 용병들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해 얻어진 것으로 총 3명이 확인됐다. 이들은 각각 마약, 무장강도, 폭행 등 다양한 범죄 혐의로 수감된 죄수 출신으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수가 무장반란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