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하마스는 현지시간으로 8일 텔레그램을 통해 하마스 전투원 여러 명의 보디 카메라에 찍힌 이같은 영상을 공개하며 존재를 과시했다.
하마스는 해당 영상이 지난 2, 3일과 5, 6일에 각각 촬영됐다고 했다. 영상에 나타난 그림자의 길이와 방향을 보면 이스라엘군에 대한 공격은 서로 다른 날짜나 몇 시간 간격으로 발생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영상은 대부분 편집돼 있어 하마스 뿐 아니라 이스라엘 측 피해 여부를 알 수 없다. 하마스는 임무가 성공적이었다고 할 뿐 이스라엘군 측 피해 상황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또 영상이 어느 지역에서 찍힌 것인지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CNN은 지리적 위치 분석을 통해 세 곳의 주요 장소를 확인했다.
건물이 즐비한 도시나 주로 올리브 나무 과수원이 있는 시골 지역도 나오지만, 지리적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영상은 이스라엘군이 한 달 이상 하마스의 진지와 땅굴을 공격해 왔는데도 이 이슬람 무장 세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고 CNN은 지적했다.
CNN의 군사분석가이자 퇴역장군인 마크 허틀링은 영상 검토 후 하마스가 이스라엘군의 장갑차 등 일부 군용차량에 대해 특히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진 성형작약 로켓추진유탄발사기(RPG)를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아군의 지상작전 중 무력화되거나 파괴된 군용차량의 수는 “작전상의 보안”을 이유로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가자시티 내 땅굴과 그안에 있을 하마스 전투원들을 소탕하는 데는 최소 몇 달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공습 등으로 폐허로 변한 건물을 활용해 매복 공격을 감행할 수도 있다.
허틀링 분석가는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매복 공격에 완벽하게 대응하려면 모든 땅굴 기능을 무력화시켜야 한다며 입구 뿐 아니라 갱도를 무너뜨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하마스 잔당에 대한 소탕 작전은 차량으로 수행할 수 없다. 만일 그렇게 되면 두더지 잡기와 같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 군인들이 각 건물을 직접 수색해야 하므로, 하마스의 소총병이나 저격병에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지상전 개시 후 전사자 수는 33명으로 늘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