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첩보기관 신베트는 최근 이스라엘 국경군과 협력해 이스라엘 국경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산하에 있는 서안지구에 걸쳐 있는 작은 마을인 바르타 등지를 급습했다.
이 과정에서 신베트는 마을 곳곳에 은신해 있던 하마스 대원 52명을 검거했다.
신베트 대원들과 군인들은 바르타의 한 건물 정문으로 돌진한 뒤, 하마스 대원들이 숨어있는 층으로 올라가 10여 명을 한꺼번에 체포하기도 했다.
또 다른 사진에서는 무장한 군인들이 반바지를 입은 하마스 대원의 눈을 가리고 포박한 채 끌고 나오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흰색 천으로 눈이 가려진 채 호송용 버스에 태워졌다. 이들은 신베트의 기지로 옮겨져 심문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신베트는 체포한 용의자들에게 법적으로 서안지구에 머물 수 없는 이스라엘 현지법을 어긴 혐의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베트의 이번 대규모 하마스 소탕 작전을 담은 현장 모습은 하마스 다음으로 규모가 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이슬라믹 지하드(PIJ)가 지난달 7일 이스라엘 기습 공격 당시 납치한 70대 할머니와 10대 소년 인질의 모습을 공개한 직후 나왔다.
하마스, 가자지구 민간인 1만여 명 사망에도 “불가피한 대가”한편, 지난달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1400여 명이 사망하고 250여 명이 납치된 이스라엘은 그야말로 ‘피의 복수’를 이어가고 있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대대적으로 파괴하면서, 가자지구의 민간인 사망자는 1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하마스 지도자들은 이스라엘의 보복 공습으로 가자지구 민간인이 사망하는 것에 대해 “불가피한 대가”라고 입을 모았다.
뉴욕타임스의 8일 보도에 따르면, 하마스 지도자들은 가자지구의 (민간인) 피해는 더 큰 목표를 위해 치러야할 불가피한 대가라고 말하며, 정체된 대 이스라엘 투쟁에 새로운 계기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하마스 최고 지도부의 일원인 칼릴 알-하먀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이 “단지 충돌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체된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어 “팔레스타인 문제를 다시 부각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현재 팔레스타인 누구도 안정돼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하마스에서 언론 대응 고문을 맡고 있는 타헤르 엘-누누는 “이스라엘과 전쟁이 모든 지역에서 지속되길 바란다. 그래야 아랍 세계가 우리 편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