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비난에도 이스라엘군이 알시파 병원을 급습한 것은 이곳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주요 근거지라는 명분이었다. 실제로 이스라엘군은 수색과정에서 MRI 장비 뒤쪽에서 발견된 AK47 소총을 비롯 수류탄과 탄약 등을 공개하며 병원 급습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이스라엘군이 공개한 전체 압수품 사진을 보면 군복과 총 11자루, 군용 조끼 3개, 하마스 로고가 새겨진 조끼 1개, 수류탄 9개 등이다. 이에대해 이스라엘군은 “병원에서 무기와 다른 테러 기반시설을 발견했다"며 “하마스 테러범들이 알시파 병원을 본부로 사용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막상 ‘전리품’이 공개되자 알시파 병원이 하마스의 주요 근거지로 사용되고 있다는 이스라엘 측 주장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특히 이스라엘군은 하마스가 병원 밑에 지하터널을 구축해놨다고 주장한 바 있으나 이번 작전에서 그 입구를 발견했는지 여부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대해 BBC는 “이스라엘은 그 노력에 비해서는 보여준 게 별로 없다. 국제적 비난을 불러일으킨 이 논쟁적인 작전은 대규모 무기고를 확보하진 못했다”면서 “지휘센터로는 충분하지 않아 보였다”고 논평했다.
또한 하마스 측도 이스라엘군이 발견했다는 무기에 대해 “이스라엘이 현장에 갖다 놓은 무기”라면서 조작설을 주장했다. 카타르에 머물고 있는 하마스 고위 간부 에자트 엘라쉬크는 “점령(이스라엘)군은 여전히 거짓말을 하고 있다. 그들은 부끄럽게도 무기와 옷, 장비를 병원에 가져다놨다”며 “우리는 유엔과 세계보건기구(WHO), 적십자가 이스라엘의 거짓을 검증해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소셜미디어 X등에는 이스라엘군이 병원에 제공한 의료용품 상자 속에 이 무기들을 몰래 담아 병원 안에 놓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국제언론도 병원 내 접근이 차단돼 이에대해 어느 쪽의 주장이 맞는지는 확인되지 않고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