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남미

천문학적 가치 카리브 보물선, 4월부터 인양 개시 [여기는 남미]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사진=천문학적 가치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선 산호세. 출처=콜롬비아 대통령실
천문학적 가치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해저 보물선 인양 일정이 발표됐다. 후안 다비드 코레아 콜롬비아 문화부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앞바다 카리브에서 침몰한 스페인 범선 ‘산호세’를 이르면 4월, 늦어도 5월부터 인양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콜롬비아 해군이 보물선의 침몰 위치를 확인했다고 발표한 지 9년 만이다.

코레아 장관은 “워낙 오랫동안 물에 가라앉아 있던 것들이라 인양하면 어떤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지 몰라 처음엔 시범적으로 세라믹과 (범선의) 목재 등을 일부 인양한 후 본격적인 인양에 착수할 것”이라고 했다.

손상 없는 인양을 위해 콜롬비아 정부는 4500만 달러(약 6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인양에는 해저 600m에서 압력을 견디면서 작업할 수 있는 로봇이 투입된다. 코레아 장관은 “범선이 가라앉은 곳의 수심이 600m 이상이라 로봇 이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콜롬비아 해군에 따르면 보물선은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앞바다 카리브의 공해상 어딘가에 침몰해 있다. 콜롬비아 해군은 도굴 등 범죄의 위험이 높다는 이유로 보물선이 침몰한 위치를 1급 비밀로 다루고 있다. 코레아 장관은 “범선은 공해상 모 지점에 침몰해 있다”면서 “(안전을 위해) 해군 함선을 투입해 인양 작업을 지휘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아 장관은 “범선과 함께 가라앉은 보물의 가치는 계산이 불가능할 정도”라면서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했다. 현지 언론은 “범선이 침몰하면서 가라앉은 보물이 약 200억 달러(약 26조6400억 원)에 달한다는 일부 외신의 보도가 있었지만 (장관의 발언은) 실제 가치는 이를 초월할 수 있다고 암시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산호세는 스페인 국왕이 소유했던 범선으로 스페인이 중남미를 식민지로 거느리고 있던 당시 약탈한 보물을 정기적으로 실어 나르는 운반선 역할을 했다. 산호세는 그런 1708년 6월 영국 함대의 공격을 받아 카리브에서 침몰했다. 침몰 당시 산호세에는 지금의 볼리비아에서 캔 금과 은, 에메랄드 등 금은보석 200톤 정도가 실려 있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콜롬비아 정부가 인양 일정을 확정한 건 보물에 대한 소유권과 분배를 둘러싼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코레아 장관은 “아직도 식민시대에 있는 것처럼 보물에 대한 권리를 두고 싸워선 안 된다는 게 구사타보 페트로 대통령의 생각”이라면서 “보물을 인양해 학문과 문화에 기여하게 하겠다는 것이 콜롬비아 정부의 뜻”이라고 말했다.

콜롬비아 해군이 막대한 가치를 가진 보물선의 침몰 위치를 확인했다고 2015년 밝히자 스페인과 볼리비아는 보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회사 내 성관계’ 동영상 수백개 유출…결국 정부가 나섰다
  • 18세 女, 남편 사망 후 산 채로 화장됐다…‘순장’ 강요한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사망한 시신 옮기다 어머니라는 걸 알게 된 구급대원…당시 상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세계서 가장 큰 뱀은 무엇? 길이·무게로 나눠 보니…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목에 낫 꽂힌 ‘뱀파이어 유골’ 정체 밝혀졌다…생전 모습 복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