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시선이 바뀌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멕시코 유타칸 반도에서 찾아낸 거대 소행성 충돌의 흔적이다. 지름이 180km에 달하는 칙술루브 크레이터는 적어도 지름 10km 이상의 소행성 혹은 혜성이 충돌한 흔적으로 충돌 시기는 공룡과 다른 중생대 생물의 대멸종이 발생한 6600만 년 전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발견 덕분에 억울하게 평가절하된 공룡의 명예는 회복될 수 있었다. 공룡의 멸종은 게으름이 아니라 불가항력적인 천재지변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새가 공룡의 후손이라는 점이 확실해지면서 이제는 공룡이 멸종한 것이 아니라 새의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여전히 새를 제외한 공룡이 백악기 말에 다양성이 크게 감소하면서 멸종의 길을 걷다가 소행성 충돌로 최후를 맞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주장은 당시 같이 멸종한 암모나이트도 예외가 아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화석 기록을 토대로 이미 백악기 말에 암모나이트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브리스톨 대학 조셉 플래너리-서덜랜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주장에 의문을 품고 백악기 말 암모나이트 화석을 지역별로 다시 조사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있던 자료를 다시 분석하는 대신 각 박물관이 보관하고 있는 암모나이트 자료를 추가로 분석해 지역별로 암모나이트의 다양성과 숫자를 분석했다.
하지만 그래도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백악기 말 대멸종은 모든 지구 생명체에게 재앙이었고, 포유류처럼 다음 시대의 주인공이 된 생명체조차 사실은 대부분 멸종하고 일부만 간신히 살아남았다. 그런데 이렇게 일부라도 간신히 살아남았던 생물과 그렇지 못하고 완전히 사라진 생물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사실 쇠퇴설도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나온 것이다. 쇠퇴설이 사실이 아니라면 과연 무엇이 원인인지 알아내기 위해 과학자들은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