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공기가 제법 차가워진 지난달 중순, 서울 노들섬에서 조르주 비제가 작곡한 오페라 ‘카르멘’의 선율이 울려 퍼졌다.
무대와 음악, 배우들의 열정적인 연기는 말할 것도 없이 훌륭했지만 그날 밤 내 마음을 뒤흔든 것은 카르멘의 단 한마디였다.
“사랑도, 삶도, 죽음도 나는 스스로 선택한다.”
이 대사는 단순히 극 중 캐릭터의 선언으로 끝나지 않았다. 내 안에 묻어둔 질문을 꺼내놓게 만들었다.
카르멘의 자유는 자신의 선택에서 비롯된다. 그녀는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며, 그 대가를 감당할 각오도 되어 있다.
하지만 현대인의 삶에서 “스스로 선택한다”는 말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점심 메뉴부터 직업, 인간관계, 소비 습관까지 우리는 매일 선택하며 산다. 그러나 그 선택들이 정말 나 자신에게서 나온 것인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는 선택지가 많아진 시대다. 하지만 소셜미디어(SNS)가 보여주는 완벽한 삶, 부모님의 기대, 또래의 시선은 우리의 선택을 은밀히 제약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 선택했다고 믿고 있을 뿐이다.
선택의 대가를 감당하는 용기카르멘은 사랑을 선택했고, 그 끝에 죽음을 맞이했다. 그녀는 죽음 앞에서도 후회하지 않았다.
진정한 자유는 단순히 선택지를 늘리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다. 선택의 결과를 감당하는 용기에서 시작된다.
내게도 이런 용기를 요구받는 순간이 있었다. 안정된 직장에서 나와 새로운 도전을 결심했을 때, 불확실성이라는 두려움과 마주해야 했다.
주변의 걱정과 나 자신에 대한 의심이 몰려왔지만, 스스로에게 물었다.
“이 길이 내가 원하는 삶을 만드는 길인가?”
이 질문 끝에 선택을 내렸고, 그 결과를 감당하기 위해 노력했다. 카르멘은 단지 선택한 사람이 아니라, 선택의 책임을 온전히 받아들인 사람이었다.
현대사회의 선택의 함정현대 사회에서는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선택이 어려워진다.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는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사람들은 결정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했다. 바로 ‘선택의 역설’이다.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은 우리가 보고 싶은 영화, 읽고 싶은 책, 사고 싶은 물건을 알아서 추천한다. 우리는 스스로 선택했다고 믿지만, 사실은 기계의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세상에서 진정한 자유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나를 돌아보고,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 데서 시작된다. 당신의 선택은 진정 당신의 것인가?
카르멘은 단호하게 “내 삶은 내가 결정한다”고 말하지만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이 말은 따라가기 가장 어려운 말이 아닐까.
오늘 당신의 선택은 진정 당신의 것인가? 그리고 그 선택을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우리는 모두 자유를 원하지만, 그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용기를 내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선택을 두려워하지 말자. 그 선택이 나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한 걸음 내딛자.
선택의 순간이 찾아온다면, 카르멘의 목소리를 떠올려 보라. “사랑도, 삶도, 죽음도 나는 스스로 선택한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이 길은 내가 진정 원하는 삶인가?
박정연 칼럼니스트 yeonii011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