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손을 번쩍 들고 환호성을 지르거나 무릎을 꿇고 기도를 드리는 모습.
경기에서 승리한 선수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광경이 ‘선천적인 반응’ 이라는 연구결과가 화제다.
미국 과학전문 사이트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은 캐나다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승리 세레모니를 전혀 볼 수 없었던 맹인 선수들도 일반 선수들과 비슷한 승리 세레모니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의 유도 경기 후 세레모니 사진들을 분석한 결과 승리한 선수들을 몸을 활짝 피는 동작을, 패배한 선수들은 몸을 웅크리는 동작을 했다.”며 “이는 ‘자긍심’과 ‘유감’의 표현이 인간 행동에 선천적으로 내재돼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패배 세레모니의 차이점은 존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처럼 ‘개성’을 중시하는 서양국가의 선수들은 ‘유감’의 표현이 거의 없었던 반면 같은 미국이라도 장애인 선수의 경우나 ‘집단’을 중시하는 아시아 국가의 선수들은 일반선수이건 장애인 선수이건 ‘유감’의 표현이 두드러졌다.
연구팀의 트레이시는 이에 대해 “서양 문화는 유감표현을 억누르도록 배우지만 동양문화에선 유감 표현은 본성으로 표현해도 된다고 배운다.”며 “같은 서양이라도 장앤인은 다른 사람이 어떻게 유감표현을 억제하는지 보지 않았기에 본성이 드러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이브사이언스는 “이번 연구가 신체 표현은 선천적인가 후천적인가를 증명하는 첫 번째 연구가 됐다.”고 덧붙였다.
사진=서울신문 DB
서울신문 나우뉴스 김지아 기자 skybabe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