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출현이 빈번해진 건 한국야구의 베이징올림픽 금메달. 국내 FA시장 위축 등의 요인 때문인데. 근본적으로는 일본야구가 한국야구를 전과 달리 높게 보는데 따른 것이다. 2000년대 초반 일본에 진출한 한국 스타플레이어들이 실패한 것과 관련해 “이젠 한국선수 영입은 없다”고 했던 일본인들이 시각을 교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야구와 일본야구의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아직 격차가 여전한 것일까. 아니면 수준차가 없는 것일까. 일본야구에 정통한 SK 김성근 감독은 “이젠 차이가 없다”고 단정했고. 스포츠서울 박영길 객원기자 역시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고 말했다.
◇“50여 년의 추격. 이제 거리를 좁혔다.”
김 감독은 “50년대 한·일 교류가 시작됐을 때 그 격차는 말도 못했다. 60년대 실업 교류전을 할 때도 20-0 정도의 스코어는 우습게 나왔다”면서 “그런데 70년대 한국야구가 좀 성장하고. 80년대 국가 대항전에서는 어느 정도 맞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한국야구가 눈을 뜬 게 90년대 프로 대항전인 한일슈퍼컵이었다고 본다.
그는 “김성한이 이라부를 상대로 홈런을 친 게 있었다. 그 이후 일본 배터리가 직구에서 변화구 위주로 볼배합을 바꿨고 한국 타자들은 속수무책이었다.
그러면서 ‘우리의 아직 이것밖에 안되는구나’라고 생각해 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코나미컵과 올해 베이징올림픽을 통해 한국야구는 이제 프로리그 수준에서도 일본과 차이가 거의 없다는 걸 증명했다고 덧붙였다.
◇“속도를 따라 잡았다”
김 감독은 그간 한·일 야구의 수준차는 ‘속도’에서 비롯됐다고 봤다. “속도는 몇가지 부분이다. 타자 배트의 속도. 투구의 종속. 주루 속도. 그리고 야수의 타구처리 속도”라면서 “그간 우리는 일본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배트도 늦고. 종속도 약하고. 주루와 수비에서도 한박자씩 손해봤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올해 국내 프로리그를 보면 SK와 두산의 속도가 일본 못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이젠 수비와 주루는 비슷하고. 짧고 빠르게 치는 타자의 스윙은 우리가 낫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요코하마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김 감독은 “우리의 성장이 얼마나 대단했으면 얼마전 우리팀을 찾은 일본 프로야구 요코하마 관계자가 ‘우리 선수들을 올 연말 SK로 보내 훈련시켜야 하겠다’고 했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선수단 볼륨 등에서 아직 일본이 우리보다 나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부분을 제외한 질적인 측면만 놓고 본다면 우리 수준도 상당하다”면서 “국내 팀중 한두팀 정도는 일본리그에 포함돼 뛰어도 될 정도”라고 말했다.
◇“샌님 야구. 성장 한계에 직면했다.”
박영길 객원기자는 “그간 일본은 늘 위에 있다고 봤는데. 최근 흐름으로 봤을 때 그들은 성장을 멈춰선 것 같다”면서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들의 야구 스타일에서 그 문제를 찾는다”고 말했다.
거포 출신인 박 객원기자는 “일본 야구는 예쁘고 단정한 것을 추구하는데. 그런 샌님같은 야구는 거칠고 투박한 야구에 대해 상대적인 모습을 보인다.
상대가 거칠지만 수준이 떨어질 때는 10-0의 완승이 쉽지만. 상대에 대해 55-45정도로 약간 우위에 있을 때는 무너지기 쉽다”면서 “우리 야구는 아직 거칠지만 무섭게 성장했고. 일본 야구는 성장이 막혀 이젠 그 격차가 분명치 않다”고 말했다.
기사제휴/스포츠서울 윤승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