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를 주연으로 한 최초의 영화 ‘미안하다, 독도야’가 모습을 드러냈다. 2007년 7월부터 17개월에 걸쳐 제작된 이 다큐멘터리는 학술적인 내용보다는 독도에 터전을 잡고 살아가는 그곳 사람들과 모르쇠로 일관했던 우리네의 이야기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영화에는 독도이장 김성도 씨 부부와 손자 환이의 독도 생활, 6000명의 손도장으로 만든 태극기를 독도 바다에 띄우기 위해 애쓰는 문화연합동아리 ‘생존경쟁’의 노력 등이 담겨져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사람들과 펜팔을 통해 독도를 알리려는 초등학생과 해외에 독도를 알리기 위해 영어를 배우는 80대 노인, 사이버 외교 단체 반크(VANK)등의 독도 사랑도 훈훈하게 녹아있다.
이 영화를 기획하고 제작한 최현묵 감독은 ‘맨발의 기봉이’, ‘식객’ 등을 제작한 ㈜지오엔터테인먼트의 대표다. 첫 연출작인 ‘미안하다, 독도야’는 상업적 영화에 올인해 왔던 그의 전적과는 전혀 다른 행보인데다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부분을 건드린 작품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영화에서는 민감한 부분을 톡톡 건드려 터뜨리려 하거나 이슈를 불러일으키려는 요소들은 찾아볼 수 없다. 독도 관련 영화라면 당연히 등장할 법한 학술적인 이론도 의도적으로 배제됐다.
그러다보니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주장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나 알지 못했던 부분을 일깨워주는 다큐멘터리로서의 지식 전달 기능을 상실한 채 감성적으로만 다가갔다는 평도 적지 않다.
이에 최 감독은 “애국심이나 사회적 이슈를 위해 영화를 기획한 것은 아니다. 초중고 학생들이 볼 만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은 가능한 편집했다.”며 “영화를 본 분들이 독도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고 싶어하고 작은 실천을 행하게 하는 단초가 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미 수 십 년간 외교적·민간적 마찰을 불러 일으켰던 독도 영화 제작과 관련해 주변의 우려와 개인적인 부담감도 만만치 않았음을 시사했다. 최 감독은 “왜 일부러 어려운 길을 택하냐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때로는 그러한 무관심이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고 토로했다.
이어 “다큐멘터리에 처음 도전하다보니 개봉하지 않고 계속 현장에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두려웠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이 영화가 시발점이 되서 제2, 3의 독도영화가 나오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노고로 만들어진 이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은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일본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그간 독도에 무관심했던 우리 자신을 꾸짖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독도와 무관하게 살아왔던 최 감독을 비롯한 일반 시민들의 참여는 더욱 뜻 깊게 다가온다.
결국 독도의 존재를 잃게 만든 것은 그 누구도 아닌 우리 자신이라는 가르침을 주는 이 영화는 2008년 마지막 날 공개된다. 세 살 꼬마부터 여든 노인까지 누구나 외치고 실천할 수 있는 ‘독도 사랑법’이 알고 싶다면 잊지 말고 챙겨보는 것이 좋겠다.
글 /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