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궁이에 불을 지펴야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었던 시절, 성냥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었다.
광고 산업이 활성화 되지 않았던 시절에도 성냥은 효과적이면서도 손쉬운 광고수단이었다.
약도와 주소, 전화번호 등이 적혀있던 성냥을 들고 음식점이나 찻집을 나서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고 네모난 성냥갑 외에도 원통이나 삼각통 등에 담겨 ‘패션’을 뽐내던 시절이 있었다.
추운 겨울, 눈이 내리는 길거리에서 손을 호호 불며 “불 좀 빌립시다.”라며 말을 거는 청년에게 말없이 성냥불을 피워 주는 장면 또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그렇게 성냥이 ‘대접’을 받던 시절은 1970년대 전후. 당시 전국에는 300여개가 넘는 성냥공장이 성업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성냥공장은 점차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결국 현재 국내에 남은 성냥공장은 경북 의성에 남은 ‘성광성냥’ 한 곳 뿐이다.
손진국(73)사장과 아들 손학익(44)상무가 운영하는 성광성냥은 ‘향로성냥’으로 한때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과거 2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밤낮 없이 기계를 돌려 거액의 매출을 올렸던 성광성냥의 현재는 말 그대로 ‘한파’ 그 자체다.
“예전에는 성냥이 광고용으로 월등히 앞서 판매됐었어요. 하지만 볼펜이나 라이터, 재떨이 등이 광고시장에 들어오면서 성냥이 설 자리가 없어지기 시작했죠.”
50년이 넘는 세월동안 성냥과 함께 해온 손 사장의 말투에는 아쉬움과 섭섭함이 묻어났다.
1980년대 후반부터 라이터, 전자레인지 등 신식 물건들이 일반 가정에 들어오면서 성냥산업은 사양길에 들어섰다. 특히 1회용 라이터의 등장은 광고용 포켓성냥의 판매에 큰 타격을 주었고 엎친데 겹친 격으로 중국산 성냥까지 수입되면서 사면초가에 빠지게 됐다.
“부뚜막이나 석유풍로가 있던 시절에만 해도 성냥은 없어서는 안 될 물건이었죠. 하지만 가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대체물품들이 늘어나면서 현재는 광고용으로만 근근이 제작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성냥산업이 어려워지자 손 사장은 몇 해 전 1000톤에 달하는 성냥제조기 한 대를 인도네시아에 팔았다. 국내에 있던 기계들이 하나 둘 외국에 팔렸고 성냥을 제조하는 공장 자체도 모두 문을 닫고 말았다.
“9년 전 아들이 나서서 공장을 맡아보겠다고 했을 당시에는 반대했지만 열심히 해보겠다며 의지를 보이는 모습에 다시 시작하게 된거죠. 고생하는 아들의 모습을 보면 자랑스럽기보다는 안쓰러워요. 상황이 너무 좋지가 않아서…”
성광성냥의 연매출은 ‘잘나가던 때’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생산량의 대부분은 광고업자들의 주문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점차 줄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손 사장이 쉽사리 공장 문을 닫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곳은 내가 50년이 넘도록 밤낮없이 일 해왔던 일터예요. 공장 운영이 힘들긴 하지만 그렇다고 쉽게 포기할 수도, 함부로 없앨 수도 없지요.”
손 사장의 꿈은 공장 곳곳을 보수하고 기계를 재정비해서 ‘성냥공장 체험관’을 설립하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직접 성냥을 만들 수 있는 기회도 주고 성냥의 탄생 과정도 엿볼 수 있게 하고 싶다는 손 사장의 눈빛에서는 이전과 다른 생기가 넘쳤다.
“성냥이 추운 곳을 따뜻하게 해주고 어두운 곳을 밝혀줄 수 있는 소중한 물건인 만큼 그 귀중함에 대해 알려주고 싶어요.”
현재를 있게 해준 과거의 소중함을 잊지 않고 이를 지키기 위한 성광성냥 식구들의 작은 손놀림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성냥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의 소망이 기쁜 결실을 맺는 날을 기다려 본다.
글 /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