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곡명 ‘안녕 마음아’는 오랜 방황을 마친 어느 날, 낡은 다이어리를 ‘후’ 불어 썼던 첫 마디 였어요.”
”안녕 마음아, 사랑해서 미안해. 힘들고 아파도 행복해서 멈출 수가 없었어. 날 용서해.”
’러브홀릭 보컬’이라는 화려한 수식어를 등지고 약 3년 만에 솔로가수로 컴백한 반가운 얼굴 지선(본명 황지선).
’지선’이 인터뷰를 통해 끙끙 지고 있던 짐을 훌훌 털어놓았다. 조심스럽게 말문을 뗄 때마다 조금씩 밝아지는 그가 보였다.
흔히 뮤지션과의 만남은 두 가지 느낌을 남긴다. 실제 그의 모습이 음악에 투영된 경우, 혹은 전혀 다른 경우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러브홀릭’으로 강한 이미지를 굳힌 지선은 그의 음악과 얼마나 닮아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선은 자신 안에 잠재된 가장 순수한 내면세계를 100% 음악으로 재생해 내는데 주력하고 있었다.
몽환적인 음악색은 지독히 감성적인 그의 일상을 그대로 옮겨둔 듯하다. 맑고 투명한 보이스 컬러는 치장 없이 자신을 드러낼 줄 아는 그녀만의 표현법 중 하나였다.
’러브홀릭 탈퇴’라는 자극적인 수식어가 앞선 홀로서기 이기에, 지선은 ‘고백’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함을 불편이 여기지 않았다.
당당하기에 꾸밈없는 지선의 ‘독한 고백’에 매료됐다. (이하 지선의 독백 형식)
§1. 600:1로 ‘러브홀릭’ 됐지만… “난 부족했다”
우리나라에서 노래만 열심히 해서는 음악을 하며 살아갈 수 없다는 걸 알아버렸어요. 즉, 여성보컬이 되려면 3가지 기로에 서게 되죠. 꽃, 인형, 섹시여전사…. 저요? 셋 중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죠.
음악성을 지향한 밴드 ‘러브홀릭’을 만난 건 행운이었어요. 하지만 최고의 뮤지션인 이재학, 강현민 오빠의 음악을 훌륭하게 표현해내며 제 미션을 100% 이행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막상 자신감이 없었어요. 매 앨범마다 큰 사랑을 얻었지만 늘 저 스스로는 ‘부족하다’는 좌절감이 있었죠.
유일하게 제가 가지고 있는 무기는 ‘목소리’ 인데 이걸 잃어버리고 ‘인어’ 같은 존재가 됐을 때, 과연 ‘음악인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 ‘존재의 가벼움’을 견딜 수 없었어요.
오빠들과 오랜 상의를 거친 후 제 결정을 조심스럽게 말씀드렸어요. “네 의견을 존중하겠다. 맞는 결정인지 지금은 알 수 없지만, 어른이 될 수 있는 뜻 깊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며 제 의사를 따뜻이 감싸 주셨어요.
§2. ‘팀 탈퇴’ 아닌 ‘음악 탈퇴’ 고려했다
오해하시는 부분이 러브홀릭이란 둥지를 벗어났을 때 처음부터 솔로 활동을 염두해 두고 내린 결정이 아니었어요. 단지 내 전부라 믿었던 ‘음악’이란 틀을 벗어나 살아가는 ‘진짜 지선’을 찾고 싶었던 거죠.
그래서 제일 먼저 뭘 했냐고요? 멀리 여행을 떠났어요. 일본 오키나바로 한 3달 정도 여행을 갔어요. 전혀 다른 곳에 가서 ‘음악하지 않는 지선’으로 살다 보면 회복이 될 꺼라 믿었어요. 하하… 참 바보 같죠?
그런데 그 세상도 역시 지구 안이더라고요. 또 다른 인간의 세상에 왔지만 결국 자신이 살고 있던 세상을 그리워하는 ‘인어’ 말이에요. 그게 바로 저란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제가 정착해야 살 수 있는 이곳, ‘음악’으로 돌아오게 됐어요. 그 의미에요. 제 앨범명. ‘인어.. 집으로 돌아오다.’
§3. 확 시집 가버릴까?
음악 안하면 뭐 하려고 했냐고요? 에이~ 저 할 거 많아요. 요리를 좋아해서 음식점을 할까, 미술을 전공하신 어머니의 뒤를 이어 그림을 다시 시작할까.
참! 시집을 확 가버릴까 생각했어요. 절대 도피가 아닌 진지한 고민이었어요. 어떤 뮤지션들은 ‘저는 음악과 결혼 할래요’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저는 달라요.
한 여자가 누릴 수 있는 행복을 동경하죠. 그것 자체가 만족되지 않으면 음악 아닌 그 어떤 것도 무의미하 것 같아요. 왜 시집 안 갔냐고요? 핑계가 아니라 정말 곁에 지켜주는 분이 없었어요. 물론 음악으로 엮인 고마운 분들은 많지만 ‘음악 하는 지선’과 ‘인간 지선’의 행복이 같을 순 없으니까요.(웃음)
§4. 타이틀곡 ‘안녕 마음아’, 내 이야기
타이틀 곡이요? 내 이야기 맞아요. 저처럼 ‘내가 이 세상의 존재가 맞을까’ 싶을 정도로 서러운 청춘을 보냈던 분들에게 치유가 될 수 있는 앨범이었으면 좋겠어요.
그런 느낌 가진 적 있나요? 나는 괜찮은데 마음이 괜찮지 않은…. 진정 아픈 건 내가 아니라, 그저 내 안에 살고 있는 이유로 한 없이 다치고 다치는 ‘내 마음’이란 존재라는 것. 그런 당신들의 마음에게 건네는 독백이에요.
제 경우, 사랑의 잔재를 벗어나는 데 오래 걸리는 편이에요. 사랑하는 동안 너무도 행복해서, 다칠 것을 알면서도 그만두지 못했던 기억이 있어요. 저처럼 바보 같은 사랑을 했던 분들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가끔은 그런 여러분의 마음에게 위로를 건네주세요. ‘안녕 마음아’ 하고….
§5. 끝이 있으니 ‘시작’이 있더라
상투적인 얘기 같지만 저는 이 말을 절감하게 됐네요. 죽을 용기로 살란 말이 있잖아요. ‘제 삶의 전부인 음악을 끝낼 용기가 있었다면, 왜 나는 온 몸이 바스라지도록 음악에 뛰어들지 못했나’는 부끄러움이 저를 견딜 수 없게 만들었어요.
도망갈 생각만 있었지, 과연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지 심장이 터지도록 달려보지 못했단 아쉬움이 제 고개를 떨구게 만들었어요. 가보자. 다시 한 번 내 이름 ‘지선’을 걸고.
이번이 진정 마지막 도전이라면, 정말 후회 없도록 음악에 미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저 돌아왔어요. 음악이란 집으로.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에요! 제가 찾은 이 희망의 빛을 이제는 음악으로 돌려드리고 싶어요. 그리고 지금 제 음악을 듣고 있는 모든 이에게 전하고 싶어요.
감사드린다고. 바로 당신이 있어 돌아올 수 있었다고.
서울신문NTN 최정주 기자 joojoo@seoulnt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