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미술작품을 보면서 남녀 모두 아름답다고 느끼지만 두뇌에서는 다른 작용이 일어난다고 한 연구팀이 주장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프란시스코 아일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남성과 여성 두뇌는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며 “이는 인류 진화과정에서의 고정된 성역할 차이 때문일 것으로 추측한다.”고 과학저널 ‘내셔널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최신호에서 밝혔다.
연구팀은 각각 10명의 남성과 여성에게 풍경사진과 미술 작품 몇 점을 보여준 뒤 그것을 아름답다고 느끼는지를 물었다. 그리고 남녀 두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fMRI(자기공명영상장치)로 확인했다.
남녀의 두뇌는 아름답다고 밝힌 미술작품을 떠올리면서 초반 300밀리세컨드(1초의 1000분의 1)에는 별 다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300~700밀리세컨드에 접어들자 남녀의 두뇌는 아름답다고 느꼈던 예술작품을 떠올리며 시각과 공간적인 감지를 담당하고 정보전달을 하는 ‘마루엽’이라는 부분이 자극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때 남성과 여성의 두뇌반응은 다소 차이가 났다. 여성의 두뇌는 두 신경계가 모두 자극됐던 반면 남성은 대뇌반구 중 오른쪽부분이 집중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
연구팀은 남녀의 이 같은 두뇌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해 “여성은 시각적인 사물을 볼 때 두뇌의 대부분을 이용하는 반면 남성은 사물의 공간적인 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정컨데 우리가 찾은 차이점은 남성과 여성이 진화할 때 가졌던 다른 사회적 역할에 기인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즉 이 연구결과는 초기 인류의 남성들이 대부분 사냥을 하거나 먹잇감을 쫓으면서 공간감각이 발달하고 채집을 담당했던 여성들이 물건을 더 잘 찾는 등 특징을 갖는 것을 설명할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사진=themedguru.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