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성(28·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 8일(한국시간) 포르투와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8강 1차전에 선발출전해 59분만 뛴 뒤 긱스와 교체돼 이번 시즌 선발출전 경기 중 두번째로 적게 뛰었다. 지난 2월 더비카운티와 FA컵에서 55분을 뛰고 교체됐는데, 당시 팀이 3-0으로 앞선데다 사흘 후 풀럼전에 대비한 배려차원이었다. 그러나 이날은 퍼거슨 감독이 “오늘 특히 지쳐 보여서 일찍 뺐다”고 말했을 정도로 부진이 조기교체 이유였다. 포르투전이 이번 시즌 가장 부진한 경기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패스 성공률 꼴찌가 부진을 대변한다
부진은 기록에서도 드러난다. UEFA가 경기 후 내놓은 선수별 패스 성공률에 따르면, 박지성은 59분 동안 총 41차례 패스를 시도해 23번만 성공했다. 성공률 56%. 맨유 출전선수 13명 중 최하위였다. 그렇다면 화수분 체력의 박지성이 부진한 이유는 무엇일까.
◇대표팀 차출로 인한 피로
표면적인 부진 요인은 퍼거슨 감독의 언급처럼 대표팀 차출로 오간 여독과 시차, 그리고 피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대체로 유럽에 분포한 동료에 비해 박지성은 대표팀에 차출되면 8시간의 시차와 1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 등을 극복해야 한다.
◇퍼거슨 감독의 전술적 실패
4-3-3 전형의 오른쪽 윙포워드로 나선 박지성은 애초 왼쪽의 호나우두와 함께 원톱 루니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했다. 중앙 미드필드엔 캐릭 스콜스 플레처를 배치했다. 그러나 이 전형은 제대로 들어맞지 않았다. 맨유의 첫 슛은 전반 14분에야 호나우두의 머리에서 니왔다. 퍼거슨 감독은 10분께부터 박지성을 왼쪽으로, 플레처를 오른쪽으로 배치하고 호나우두와 루니를 최전방에 세우는 4-4-2 전형으로 바꿨다. 이같은 변화 속에서도 활로는 좀처럼 열리지 않았다.
◇수비·미드 필드진 와해 등 팀 차원의 침체
팀 차원의 문제가 박지성의 부진으로 연결된 측면도 크다. 수비가 흔들렸다. 챔피언스리그 16강전까지 8경기에서 최소실점(3골)했던 맨유가 이날 내준 두 골은 모두 실수 탓이었다. 최근 4경기에서 10실점해 수비와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집중력도 떨어졌다. 맨유는 볼 점유율에서 58%대42%의 우위였지만 슛에서는 13대17로 열세를 보였다. 실속이 없었다. 초반 4-3-3 전형으로 나서며 중원에 3명이 배치됐지만 상대 역습을 차단하지 못해 분위기마저 뺏겼다.
기사제휴/스포츠서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