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가장 흔한 술버릇은 했던 말 하고, 또 하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네티즌 여러분, 요즘 술 많이 드시나요? 경기도 어렵고 사는 게 팍팍해서 술이 그나마 위안이 된다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술을 마셔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직 간접적으로 ‘주사’를 겪게 되죠. 여러분이 경험해본 술주정 중 가장 독특한 것은 어떤 것이었나요? 주변 친구나 직장 동료들이 부리는 주사 중에 가장 흔한 것은 어떤 것인가요?

15일 방송된 KBS 1라디오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의 ‘500명에게 물었습니다’ 코너 조사결과, 한국인의 술버릇 1위는 ‘같은 말 반복하기(18%)’로 나타났습니다.

술자리에서 한국인은 반복 재생 기능에 유독 강한 녹음기가 되나 봅니다. 오차 범위를 감안하면, 그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난 술버릇이 ‘필름 끊김(17%)’과 ‘잠자기(15%)’ 정도였습니다.

이 뿐만이 아니겠죠? 이 외에도 ‘소리 없이 사라지기(14%)’, ‘술 강요하기(13%)’, ‘시비 걸거나 싸움하기(12%)’, ‘험담하기(10%)’도 있네요. 우리 청소년 네티즌들이 제일 싫어하는 주사죠? ‘자녀깨워 괴롭히기’도 10%나 됐습니다.

전체적인 주정 유형을 분류해 볼 때, 가족이나 동석자등 주변 사람을 괴롭히는 유형이 가장 많았습니다.

주사로 사람 잃고, 남는 건 두통과 쓰린 속밖에 없는 데 술은 왜 마시냐구요?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84%)이 ‘술을 잘하는 사람이 우리 사회에서 출세하는 데 유리하다’고 답했습니다.

‘술을 잘 못하는 사람이 유리하다’는 반대 의견은 16%에 불과했구요. 술을 잘 마셔야 성공에 유리하다고 대답한 응답은 남성, 20대, 사무직노동자, 미혼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경제위기 이전 보다 주량이 늘었다’(21%)는 응답이 ‘줄었다’(16%)는 것보다 4%P 높게 나왔네요.

그 밖에 평균 주량과 가장 선호하는 술도 흥미롭습니다. 주량은 소주 기준으로 한 병 정도라는 분들이 전체의 35%로 가장 많았고요. 주종별 선호도는 맥주(45%), 소주(32%), 그리고 와인(16%) 순이었습니다.


국세청 출고량 기준으로 보면, 맥주와 소주가 경합중인데,이 조사 결과는 아무래도 계절적 요인이 반영됐다고 봐야겠죠. 요즘 날씨가 갑자기 더워지면서 맥주를 더 즐겨 찾게 됐으니까요. 예상했던 대로 와인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늘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띄네요.

※ 이 조사는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에의해 지난 11일, 전국 성인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조사로 이뤄졌습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3%P 수준입니다.

서울신문NTN 이여영 기자 yiyoyong@seoulntn.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사망자 30만명 예상”…日 사흘간 지진 300회, ‘7월
  • 러시아군의 잔혹함 어디까지…포로 몸에 새겨진 충격적 문구 내
  • (영상) 결국 지옥문 열렸다…주고받는 미사일로 초토화 된 이
  • 114세 초고령 할머니가 밝힌 ‘장수 비결’ 음식은 ‘이것’
  • (영상) 아파트도 뚫렸다…영화 같은 ‘이란 공격작전’ 상세
  • 나라 망신…한국 50대 男, 필리핀 13세 소녀 임신시키고
  • (영상) “다른 남자에게 성폭행당해 임신한 여친, 용서 못
  • (영상) 외계인이 쓰는 물건인가…하늘 둥둥 떠다니는 금속 구
  • 6세 소녀와 결혼한 45세 남성 얼굴 공개…‘경찰’ 반응은
  • “토끼 보러 갈래?” 中 7세 성폭행 살해범, 사형 처해져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