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반 고흐는 심각한 정신분열증에 시달렸으며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 전인 1888년 자신의 귀를 면도칼로 직접 자르고 ‘붕대를 감은 자화상’(Bandaged Ear)을 그린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하지만 한스 카우프만 함부르크 대학 미술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들은 기존 주장들을 뒤엎고 “반 고흐의 귀를 자른 것은 그의 친구였던 폴 고갱(1848-1903)이었으며 반 고흐는 고갱을 감싸기 위해 죽기 전까지 이 사실을 비밀에 부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한스 카우프만과 리타 빌데간스의 공동 저자는 최근 발간한 저서에서 “두 사람이 프랑스 아를에서 함께 살던 중 고갱에게 떠나겠다고 선언하자 반 고흐가 쫓아 나왔고 둘은 격렬한 언쟁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훌륭한 검술을 갖고 있던 고갱이 자기 방어 때문에 혹은 화가 나서 칼을 휘둘렀고 반 고흐의 귓불을 잘랐다.”고 설명했다.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고갱이 귀 절단 사건 직후 사라진 점과 고갱이 그 후 아를에 남겨놓은 펜싱 마스크와 장갑을 되찾으려고 했던 것에 반해 펜싱 검은 찾지 않았던 점, 그리고 반 고흐가 생전 남동생 테오(Theo)와 주고받은 서신의 내용 등을 들고 있다.
서신에서 반 고흐는 “누구도 내가 범죄를 저지르는 모습을 본적이 없고 그 어떤 것도 내가 진실을 은폐하는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반 고흐는 생전 고갱을 향한 마지막 언급에서 “너는 말이 없구나. 나 역시 그럴 것이다.”(”You are quiet, I will be, too”)고 남긴 점을 두고 두 사람 간에 ‘침묵의 서약’을 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고 연구진들은 덧붙였다.
이밖에도 연구진들은 반 고흐가 붕대 감은 귀를 그린 스케치 중 하나에서 ‘발작’((ictus)이라고 써놓은 점에 주목하고 펜싱에서 이 단어의 라틴 용어가 ‘치다’로 쓰인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다수의 미술 역사학자들은 ‘반 고흐의 귀 절단’ 사건을 정확하게 설명할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고 반박하지만 한스 카우프만이 이끄는 연구진은 자신들의 해석이 정황상 가장 논리적이라고 맞서고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