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초에 20발, 기관총을 겨누다 <1:20> 오후는 분대 공격 훈련 체험이다. 40분가량 떨어진 육군 부사관학교로 갔다. 오후 첫 훈련은 사격이었다. “우리 부대에서 사격 실력은 나 따라올 자 없었지.” 지금껏 만난 예비역 열 중 예닐곱은 이렇게 자랑했다. “사격 훈련, 너 잘 걸렸다.”고 생각했다. 누구보다 잘해서 그 남자들 코 납작하게 해주겠다며 자신했다.
‘빵, 빵, 빵, 빵’ 고막을 흔드는 총소리에 절로 어깨가 들썩였다. “귀에서 손 떼!”라는 교관의 호통에 기가 더 죽었다. 실제 총은 처음 본 터라 손에서 식은땀만 줄줄 났다.
고소공포증도 이기고 레펠 훈련도 마쳤는데 훈련을 시작하고 처음으로 “안하면 안 될까요.”라는 말이 나도 모르게 튀어 나왔다. 오락실 총싸움 정도로 생각했는데 실제 무기를 보니 뒷걸음질치게 됐다.
이런 기회는 돈 주고도 못산다는 선배 기자의 말이 마음을 움직였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여기서 뒷걸음질치면 두고두고 후회할 것 같았다.
K3라는 기관총을 어깨에 지지하고 바닥에 납작하게 엎드렸다. 교관에게 자세하게 설명을 듣고 방아쇠를 당겼다. 타르르…. 놀라운 위력이었다. 2초도 안되어 장전한 20발이 속사포처럼 튕겨나갔다. 참았던 숨이 터져 나왔다.
사격보다 더 중요한게 무엇일까. 정답은 탄피 줍기다. 20발을 쐈으면 단 한 발도 남기지 않고 탄피를 주어야 한다. 탄피 한 발이 사라졌다면 그 날은 부대에 ‘비상’ 걸린다. “탄피 하나를 잃어버리면 목숨을 잃는 것과 같다.”고 교관은 강조하고 또 강조했다.
이날 밤 기자는 악몽을 꿨다. 사라진 탄피 세 발을 찾아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넜다.
◆ 훈련의 하이라이트, 분대공격훈련 <2:30> “2번 분대원 북한군이 쫓아오는데도 그러고 있을 것입니까.” 또 호통이다. 하루 종일 혼났더니 이제는 교관의 빨간 모자만 봐도 소름이 돋을 정도다. 오전에 받은 유격훈련에서 83번 후보생으로 불렸다면 오후에 받은 분대공격 훈련에서는 2번 분대원이었다.
가짜 수류탄을 ‘건빵 주머니’에 넣고 공포탄이 든 총을 어깨에 멨다. 얼굴에 위장크림을 바르고 군모에 밤나무 가지를 꽂으니 실제 전투에 임한다는 비장함이 몸에 흘렀다. 게다가 기자는 체험이지만 다른 분대원에게는 진짜 훈련이기에 피해를 줄 수 없었다.
“몸을 숨기라.”는 분대장의 명령에 따라 포복을 하고 “9시 방향에 있는 북한군을 공격하라.”는 지시가 떨어져 뛰어가는데도 번번이 제일 늦었다.
엄지발가락에 잡힌 물집이 터졌고 입안에 마른침이 끓어올랐다. 인간 한계에 부딪힌다는 것은 이런 걸 두고 이야기 하는 거란 생각이 절로 들었다.
◆ 한계를 극복하는 군대 훈련, 이것이 참맛 <5:30> 서쪽 하늘로 해가 넘어가서야 훈련의 끝이 보였다. “이제 끝이다.”는 해방감 보다는 오늘 겪은 이 이야기를 어떻게 기사로 풀어낼까 겁부터 났다.
그 만큼 하루가 길었고, 겪은 일이 너무나도 많았다. 남자들이 제대하고 몇 년이 흘러도 군대 이야기를 하는지 그 이유가 짐작이 갔다.
“충성!” 교관에게 경례를 하는 것을 끝으로 기나긴 훈련이 마무리 됐다. 후보생들과 10분 간 꿀 같은 휴식시간이 주어졌다. 옆에 있는 여자 후보생에게 물었다. “대체 이 고생을 왜 사서 하세요?” 기자의 철없는 질문에 여군은 “고된 훈련을 받으면서 나의 한계를 극복하는 거예요. 이런 훈련 안 해 본 사람은 모르죠.”라고 자신 있게 대답했다.
그녀의 말을 들으니 이해할 것 같다. 극한 상황을 극복하고 두려움을 뛰어넘는 것 그것이 바로 훈련의 참맛이 아닐까.
두고 온 사람들이 보고 싶지 않냐는 물음에 누구하나 선뜻 나서지 않았다. 옆에 있는 남군에게 슬쩍 재차 물었더니 “왜 아니겠어요. 요즘에는 눈 뜰 때마다 부모님이 보고 싶어요. 고된 몸을 뉘일 때면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나고 그래요.”라며 공허한 미소를 지었다. 서울로 돌아오는 차안에서 이 말이 한동안 가슴을 울렸다.
비록 하루라는 짧은 훈련이었으나 그들의 땀과 웃음 그리고 애환을 엿볼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묵묵히 나라를 지키는 68만 군인이여, 모두 힘내시라!”
글 /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