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예

제작비, 드라마는 ‘무한질주’ 영화는 급락…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100억은 이제 기본?

‘에덴의 동쪽’, ‘아이리스’ 등 제작비 100억원 이상의 대작 드라마가 연이어 흥행에 성공하면서 블록버스터 드라마는 이제 성공 공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오는 5월 방영 예정인 드라마 ‘김수로’에는 무려 200억원대의 제작비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제작될 ‘아이리스’의 속편도 규모 면에서 ‘김수로’에 뒤지지 않을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3월 방영을 앞두고 있는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와 6월 방영 예정인 ‘로드 넘버원’ 등에도 100억원에 육박하는 제작비가 투입됐다.

스크린 사정은 이와 대조적이다. 3~4월이 한국영화의 전통적 비수기라고는 해도 100억은커녕 50억원대 제작비의 영화조차 찾기 힘들다. 실제로 3~4월 개봉을 앞두고 있는 한국 영화 중 50억원 이상의 순제작비가 투입된 영화는 이준익 감독의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정도가 유일하다.

한국 영화의 평균 제작비 규모는 지난 2003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2008년 총 113편의 영화가 제작된 것에 비해 제작편수는 25편 늘었지만 제작비 총액은 200억원 이상 줄었다. 편당 평균으로 따지면 총제작비 기준으로 2008년 약 30억원이었던 제작비가 2009년 약 23억원으로 낮아졌다. 영화 한 편당 제작비가 7억원 정도 줄어든 셈이다.

이는 10억 미만 저예산 영화 제작이 크게 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극장 개봉된 118편의 영화 중 10억 미만의 영화는 64편에 이른다. 처음으로 전체 영화에서 10억 미만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이다. 이른바 양극화 현상이 영화 제작 현장에서도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대작 드라마의 잇따른 제작과 관련해 드라마가 영화의 버블 붕괴 수순을 그대로 밟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상당수 드라마 제작사들이 스태프의 인건비나 배우들의 출연료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면서 몸집만 키우고 있는 모습이 거품이 절정에 달했던 영화판과 흡사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드라마 제작사들의 ‘대작 사랑’과 영화사들의 ‘몸사림’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MBC, KBS

서울신문NTN 이재훈 기자 kino@seoulntn.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마치 최근 침몰한 듯…100년 전 수심 400m에 수장된 美
  • 시신이 눈을 ‘번쩍’…관에서 ‘되살아난’ 여성, 아수라장 된
  • (영상) 죽은 ‘백두산 호랑이’가 바다에 둥둥…어부들이 사체
  • 푸틴의 ‘쇼’에 전 세계가 속았다…“대규모 공세 준비 정황
  • “어른들이 미안해”…10살 성폭행 피해 소녀, 4시간 병원
  • “7월, 일본에 대재앙 온다” 예언에 여행 취소 줄줄…코로나
  • 미성년자 강간범 석방한 법원, 황당 이유…“피해자와 결혼 약
  • (영상) 푸틴, 피눈물 흘릴 듯…‘2700억짜리’ 러軍의 가
  • “중국이 고구려 지배, 결정적 증거 찾았다” 주장…우리 정부
  • 러시아군의 잔혹함 어디까지…포로 몸에 새겨진 충격적 문구 내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