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사고가 오버랩 되는 영화 한 편이 있다. 바로 최근 개봉한 ‘작은 연못’(이상우 감독·문성근 등 주연)이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이 양민 300여명을 학살한 ‘노근리 사건’을 다룬 영화 이 영화는 한마디로 ‘불편한 진실’을 그렸다.
반드시 알아야 하지만, 아는 순간부터 마음이 불편해져 오는 역사를 그렸기 때문이다. 60년 가까이 순진하기 짝이 없는 국민들을 속이고도 시치미를 뗀 한미 군과 정부의 태도는 극장을 나서는 관객들의 마음에 분노 이상의 무언가를 남긴다.
영화를 만든 이상우 감독은 ‘대놓고’ 이렇게 말했다. “일부 평론가들이 ‘너무 교육적인 것 아니냐’라고 지적하는데, 사실이다. 이 영화는 아무도 몰랐던 역사를 알게 해주는데 목적이 있다.”고.
감독의 의도처럼, 영화는 노근리 학살이 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데 충실한다. 어떤 이념도 없다. 60년 전 겪은 우리 민족의 아픈 상처만 고스란히 보여줄 뿐이다.
영문도 모른 채 아이와 남편과 아내, 부모를 잃어야 한 ‘남은자’들은 지금도 분노를 감추지 못한다. 진실을 밝히려고 고군분투 하는 그들의 모습은 영화가 끝난 뒤 흐르는 미니 다큐멘터리에서 볼 수 있다.
“사실을 말해달라”며 울부짖는 남은 자들의 눈물은 하나의 외침이다. 도저히 맞설 수 없을것만 같은 한 나라의 군대와 정부를 향한 외침이다. 그리고 그 외침은 지금 이 시간, 천안함이 침몰한 어두운 바다에서도 들려오고 있다.
‘작은 연못’은 감춰져 온 역사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배우와 스태프,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제작진은 총 50억원의 예상 제작비 중 40억원을 절감했다. 출연진과 스태프가 8년가량이나 사실상 노게런티로 일했고, 시민들의 참여도 꾸준히 이뤄졌다.
배우 문성근은 “지금까지 한국 영화 역사상,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영화는 전무하다. 이 영화는 배우를 비롯한 한국 국민들의 십시일반으로 만들어졌고, 때문에 더욱 값지다.”며 개봉 소감을 밝혔다.
제작진의 이러한 노력은 아무도 기억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진실은 변하지 않고, 역사 또한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함이다. 또한 ‘세상에 영원한 비밀은 없다.’는 명언을 되새기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래서 대한민국 전체가 천안함 침몰로 얼룩진 지금, 유독 이 영화가 가슴을 파고드는 것이 아닐까.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