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북이 최근 ‘빅 브라더’ 논란에 휘말렸다. 사용자가 페이스북에서 로그아웃을 하더라도 다른 웹사이트들을 방문한 기록이 페이스북에 그대로 남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 사생활 침해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IT전문 블로그를 운영하는 호주해커 닉 쿠브릴로빅는 “개인적인 실험을 통해 페이스북이 사용자들의 방문 웹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쿠키를 사용하고 있는 걸 확인했다.”면서 “페이스북의 이런 시스템은 사용자가 심지어 로그아웃을 한 뒤 방문한 웹사이트들을 추적할 수 있다.”고 폭로했다.
이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좋아요(Like), 공유하기(Share), 추천하기(Recommend) 등 버튼을 누른 정보도 페이스북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사생활 침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에 8억 명의 가입자를 거느린 초거대 웹사이트. 사용자들의 웹사이트 방문데이터가 저장될 경우 엄청나게 방대한 정보가 새어나갈 위험이 발생하는 셈이다. 쿠브릴로빅은 “인터넷 유저들의 웹사이트 방문기록은 타깃 광고에 쓰이는 고급정보로, 이를 이용한 돈벌이가 가능하다.”며 고객정보에 대한 상업적 이용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페이스북 측은 서둘러 쿠브릴로빅의 주장을 반박했다. 사용자들이 웹사이트 방문 기록이 남은 쿠키가 존재하는 건 사실이지만 페이스북은 개인 사생활을 추적하는 용으로 절대 쓰지 않는다는 것.
페이스북의 기술자 그레그 스테판킥은 “쿠키가 개인적인 추적을 위해 사용되지는 않으며, 로그아웃한 사용자들의 방문이 기록된 쿠키들은 사기나 해킹된 계정을 회복시키는 등의 보안상의 이유로만 사용된다.”고 해명했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