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저널 등 과학전문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덴마크 오르후스대학 연구팀이 북태평양 환류의 30m 해저의 붉은 점토층 내부에서 박테리아를 발견했으며, 침전물의 각 층에 남아있는 산소의 양을 측정한 결과 플랑크톤도 살아남기 어려울 만큼 매우 극소량의 산소만 남아있을 뿐이었다.
이 박테리아들이 산소와 빛이 거의 없는 환경 속에서 8600만 년 가까이를 생존해 올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느리게 살기’.
박테리아들은 척박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 숨도 거의 쉬지 않고 움직임도 최소화 한 채 느린 삶을 살아왔다. 이들이 10년간 생존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은 인간이 한번 흡입하는 산소량과 맞먹을 만큼 극소량이다.
연구를 이끈 한스 로이 오르후스대학 지구미생물학자는 “이 박테리아들은 우리 눈으로 봤을 때 매우 느리게 살고 있다. 일종의 가사(假死)상태와 비슷하다.”면서 “최소한의 에너지로 생존해 온 것이 틀림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깊은 바다 속에서 살아남은 박테리아는 과학자들에게도 매우 미스터리한 존재”라면서 “공룡이 멸종되기 이전부터 살았던 이 박테리아들은 살아있는 역사로서의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