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홈런과 타점 부문에서 1위(20홈런, 68타점)를 달리고 있는 이대호는 큰 이변이 없는한 홈런과 타점 타이틀은 쉽게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잠재적으로 이대호를 위협 할 타자들이 있긴 하지만 지금의 타격 컨디션과 페이스로만 놓고 보면 이대호를 추월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홈런 타이틀에 있어 가장 위협적인 선수였던 나카무라 타케야(세이부 라이온스)는 최근 경기에서 홈런은 물론 안타 조차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8일 지바 롯데전에서 몸에 맞는 볼로 인해 선발 엔트리에 빠졌고 최근 경기에서 대타로 나서는게 전부다.
타점 역시 이제 경쟁자가 사라졌다. 그동안 이대호 뒤를 추격하던 마츠다 노부히로(소프트뱅크 호크스)는 1일 라쿠텐과의 경기에서 상대 투수 공에 오른손 손가락을 강타당해 골절상을 입었다. 3개월 진단을 받은 마츠다는 사실상 올 시즌을 종료하게 됐다.
이제 이대호가 트리플 크라운(타율, 홈런, 타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타율만 남아 있다. 현재 타율 1위는 나카지마 히로유키(세이부 라이온스)로 .321다.
주포 나카무라가 시원치 않은 가운데 홀로 팀의 중심타선을 이끌고 있는 나카지마는 ‘호타준족’으로 일본에서 쉽게 찾기 힘든 20-20(홈런-도루) 달성이 가능한 선수다.
올 시즌 초반 부진에 허덕였지만 어느새 타율을 .321까지 끌어 올렸는데 최근 경기에서 안타를 생산하지 못하며 이대호의 가시권에 놓여 있다.
이대호 입장에서는 지금의 타격 페이스라면 충분히 타율까지 넘볼수 있는 컨디션이다.
아직 44경기가 남아 있긴 하지만 만약 이대호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게 된다면 일본 야구계를 완전히 뒤집어 놓는 일대 사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77년의 일본 야구 역사 동안 아직까지 외국인 선수가 일본에 와서 첫해에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타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대호가 그 첫번째 주인공이 될수도 있다는 뜻이다.
일본 프로야구 역사상 타자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횟수는 총 10차례다. 선수로는 6명만이 트리플 크라운이란 영광을 차지했었다.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3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고 오 사다하루 2회,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04년 마츠나카 노부히코(현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각각 트리플 크라운 기록을 세웠는데 만약 이대호가 올 시즌 트리플 크라운 달성에 성공한다면 8년만이다.
외국인 선수가 일본에서 트리플 크라운을 차지한 것은 오릭스 전신인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부머 웰스가 한차례 기록했고, 역대 최고의 외국인 타자로 손꼽히는 랜디 바스가 2년연속(1985,1986)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었다.
랜디 바스는 1986년 트리플 크라운과 더불어 역대 한 시즌 최고 타율(.389)과 최고 장타율(.777) 기록까지 동시에 달성했던 위대한 선수였다.
하지만 부머 웰스와 랜디 바스 역시 일본에 진출한 첫해에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것은 아니었다. 부머 웰스는 1983년 한큐에 입단했고 랜디 바스 역시 메이저리그를 거치며 1983년에 한신 유니폼을 입었다.
물론 부머 웰스와 랜디 바스는 일본 땅을 밟은 순간부터 빼어난 활약을 펼쳤지만 곧바로 첫해에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것은 아니었다.
이 기준으로만 놓고 올 시즌 이대호가 보여주고 있는 모습은 가히 경이적이다. 홈런과 타점 외에 출루율과 장타율에서도 1위를 달리고 있는 이대호는 비록 일본이 고전적인 기록에 좀 더 의미를 둔다 해도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만큼의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나 팀 성적 리그 최하위와 더불어 빈약한 팀 타선을 감안하면 홀로 우뚝 선 기록이기에 더욱 놀라운 모습이라고 볼수 있다.
일본의 주요 언론에서는 올 시즌 이대호가 홈런 30개, 그리고 100타점 정도는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타율은 유동성이 크기에 장담할수는 없지만 만약 나카지마의 페이스가 떨어지고 지금과 같은 이대호의 활약이 지속된다면 역전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일본 데뷔 첫해에 보여주고 있는 이대호의 모습은 역대 전설급 성적이라 불려도 충분하다. 올해 일본에서 이대호보다 뛰어난 타자는 찾아보기 힘들고 압도적인 성적 역시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야구통신원 윤석구 http://hitting.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