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르타스 통신 등 현지언론은 “지난 주말 러시아 정부와 과학자들이 3500만년 전 소행성 충돌로 생성된 시베리아에 있는 거대 크레이터(crater·분화구 모양의 운석충돌 흔적) 탐사를 위한 첫 미팅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포피가이 에스토로블럼(Popigai Astroblem)으로 불리는 이 크레이터는 약 100km 크기로 그간 행성 충돌로 생긴 많은 다이아몬드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이번 연구의 책임을 맡은 니콜라이 포클리넨코는 “이 크레이터에는 수조 캐럿의 다이아몬드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면서 “일반 보석보다 두배나 단단하며 산업과 과학적 용도로 이상적”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부가 이 크레이터에 수많은 다이아몬드가 매장되어 있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지언론에 따르면 지난 1970년대 당시 소련 정부는 이미 이 크레이터의 ‘비밀’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판매로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던 소련 정부가 가격 하락을 우려해 탐사하지 않고 그냥 묻어두었다는 것.
포클리넨코는 “아마도 이번 탐사로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이 발칵 뒤집어 질 것”이라면서 “현재 시장에 쌓아둔 다이아몬드 양의 10배 이상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