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주의 연구단체인 개발지원연구협회(DARA)와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나라들의 제휴기구인 기후취약국포럼(CVF)의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결과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6%에 달하는 연간 1334조 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3.2%, 2100년에는 1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매년 탄소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오염, 기아, 질병 등으로 사망하는 인구가 500만 명에 달하며,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2030년까지 1억 명의 사람들이 사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0.8℃ 상승한 것이다. 2010년 200여 국가가 모여 지구 기온 상승폭을 2℃ 이하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저소득 국가들은 이미 물 부족, 식량 부족, 가뭄, 질병 등에 직면한 상태며, 2030년 까지 이에 따른 비용은 GDP의 11%에 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은 향후 20년 내에 1조 2000억 달러가 넘는 기후변화 손실의 대부분을 책임져야 할 것이며, 미국은 GDP의 2%, 인도는 5%이상이 될 것”이라면서 “그러나 이러한 손실은 저소득 국가의 지출 비용에 비하면 적은 것”이라고 전했다.
CVF 의장인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는 “생산성 10% 감소는 우리에게 곡물 약 400만t의 손실을 의미한다.”고 말했고, 모하메드 미자룰 쿠아예스 방글라데시 외무장관 역시 “(지구 온난화 피해를 막기 위한) 대체 계획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우리에게 지구는 단 하나 뿐이기 때문”이라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