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 사이의 연골은 일종의 충격완충장치로 신체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관절면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연골이 닳아 없어진 무릎은 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몸의 움직임이 불편해지고 통증으로 활동조차 힘겨워지게 된다.
연골은 혈관이 없고 세포구조 분포가 까다로워 한번 손상되면 자연적으로는 재생되지 않는다. 때문에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두었다가는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이 재생의학의 핵심인 줄기세포 치료를 통해 연골 재생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본인의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추출, 외과적 시술을 통해 퇴행성관절염 및 외상으로 인한 연골질환 부위에 주입해 연골재생을 유도한다.
이때 줄기세포를 통해 만들어지는 연골은 원래 연골과 동일한 연골이 80~90%가량 재생되므로 거부반응이 없고 빠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 치료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자신의 골수를 이용하는 자가골수줄기세포술이며, 다른 하나는 제대혈에서 채취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성체줄기세포술이다.
우선 자가골수줄기세포술은 환자의 엉덩이뼈나 넓적다리뼈에서 채취한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손상된 무릎 연골에 주입하는 시술로, 관절내시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개나 출혈을 최소화 한 것이 특징이다. 시술 시간도 일반적으로 30분 안팎이다.
또한 성체줄기세포술은 골수의 양이 불충분해 자신의 줄기세포를 이용하기 쉽지 않은 50세 이상의 경우에 이용할 수 있으며, 연령에 관계없이 시술이 가능해 비교적 넓은 범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바른마디정형외과 김재훈 원장은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본인의 연골을 그대로 재생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1회의 시술만으로도 효과가 탁월하다”며 “시술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재생된 연골이 뼈에 생착하고 이전과 같은 상태가 되려면 일정기간 동안 휴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원장은 이어 “휴식하는 동안에는 무릎에 차가운 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고, 과격한 운동이나 음주 등은 피하며 제대로 관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