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이 같은 이야기는 많은 이들로 하여금 충분히 호기심이 발동하고 흥미가 생길 법 하다. 실제 관련 서적을 들여다보고, 급기야는 경매에 도전하기에 이르는 이들도 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 낙찰 이후에 생길 수 있는 돌발상황 때문이다. 뒤늦게 사태를 수습하려 하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낙찰 받은 물건의 전 주인은 못 나가겠다고 버티고, 집에서는 물이 새고 경매를 위해 대출받은 돈의 이자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보통 경매는 크게 3단계로(좋은 매물 찾기→법원 경매 참가하기→낙찰 후 명도) 나뉜다. 이 가운데 한 곳에서만 삐끗해도 부동산 경매 수익의 장밋빛 꿈은 잿빛으로 얼룩진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경매로 인한 위험부담과 복잡한 과정을 피하고자 경매대행업체를 이용하기도 하고, 컨설턴트를 찾아 상담을 요청한다.
이에 대해 경매전문가들은 지속적인 경매로 탄탄한 수익을 얻고자 한다면, 스스로 이 과정을 파악하고 헤쳐나가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나는 경매로 월세 2천만원 받는다’의 저자 유영수 원장도 같은 생각이다. 그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다가 우연히 경매를 시작하게 됐다. 처음에는 그저 한번 입찰에 참가해 보겠다는 여느 사람들과 다르지 않았다.
그랬던 그가 지금은 직접 투자뿐 아니라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서울부동산칼리지’라는 부동산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온라인동호회 ‘신나는 재테크’를 운영하는 등 자타가 공인하는 경매전문가로 인정 받고 있다.
이 책은 ‘나는 경매로 월세 2천만원 받는다’라는 제목의 1권에 이어 이번에 2권이 출간됐다. 저자는 “혼자만 잘사는 건 혼자만 못사는 것만큼 외롭고 쓸쓸한 일”이라며 “남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가치와 철학 없이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은 경매에서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내용을 살펴보면 건물 관리인과 술잔을 주고 받으며 밤새 이야기를 나누고, 일년 넘게 집에서 못나가겠다고 버티던 집주인이 이사할 때 찾아가 함께 걱정하고, 시간을 쪼개서 학생들의 재정상담을 해주는 등 얼핏 보면 재테크나 수익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길을 걷는다. 그러면서도 누구도 넘볼 수 없는 큰 수익을 낸다.
그가 말하는 경매비결의 핵심은 ‘그러면서도’ 수익을 내는 게 아니라 ‘그렇기 때문에’ 수익을 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제목대로 유 원장의 ‘월세 2000만원’을 받게 된 노하우가 담겨 있어 경매에 관심 있는 초보자들에게는 간접 경험을, 본격적인 경매 투자에 나선 경험자에게는 ‘위험 관리’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담아냈다는 평가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