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스포츠와 치매의 연관관계가 연구된 바는 있었지만 정확한 과학적 근거가 밝혀지지는 않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은 레이저 이미지를 통해 ‘타우’(tau)라는 단백질을 조사했다. ‘타우’는 알츠하이머에 주로 관여하는 단백질인데, 이것이 운동 중 머리를 다치면서 뉴런이 손상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
연구팀에 따르면 타우 단백질은 본래 건강한 뇌세포에 존재하지만, 기능이 저하된 타우 단백질 덩어리가 생기면 뇌의 활동을 방해해 알츠하이머로 연결된다.
또 뇌세포 외부에서 타우 단백질이 침입할 경우 뇌세포가 이를 흡수하여 삼키는데, 이 과정에서 일종의 응고된 덩어리가 생기고 이것이 정상적인 타우 단백질의 활동을 방해한다는 것.
특히 머리에 충격이 자주 가해지는 축구선수나 권투선수의 경우, 이러한 응고된 덩어리들이 많이 생길 수 있어 알츠하이머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클레멘스 카민스키 교수는 “우리는 알츠하이머로 사망한 환자들의 뇌를 관찰함으로서 알츠하이머 ‘분자 단계’를 설명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면서 “이번 연구는 타우 단백질 흡수가 알츠하이머 발병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와 운동선수의 머리 부상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작은 퍼즐”이라면서 “이것이 반드시 필연적인 관계는 아니며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미식축구선수들이 일반인에 비해 신경변성 질병에 걸릴 확률이 3배 가까이 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연관돼 있다.
실제로 올초 미국의 프로미식축구리그(NFL)는 우울증과 치매 등에 걸린 은퇴선수 4500명에게 고액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도 했는데, 이들 대다수의 발병 원인은 머리의 강한 충격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생리화학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