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은밀하게’ 나눈 대화 내용 또는 침실에서의 사생활이 트위터로 실시간 전송된다? 그것도 내가 모르는 사이에…
최근 미국 뉴욕의 남성 2명이 개설한 트위터에 짧은 문장들이 속속 올라왔다. 누가 한 이야기인지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 사적인 대화를 담은 글들이었다.
트위터 계정에 올라온 이 글들은 개설자 2명이 뉴욕 곳곳에서 도청한 대화 내용들이다. 이러한 도청은 ‘컨버스니치’(Conversnitch)라는 기기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정보기관인 NSA(National Security Agency)가 전 세계를 무차별적으로 도·감청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파문이 인지 불과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등장한 ‘컨버스니치’의 정체는 뭘까.
미국 허핑턴포스트, 영국 텔레그래프 등 유력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컨버스니치’라는 장비는 뉴욕에서 개발자 및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카일 맥도날드와 브레인 하우스 두 사람의 ‘작품’이다.
두 사람은 과학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무단으로 침해받는 사생활 및 사적 공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컨버스니치’는 카페나 도서관에 설치된 작은 전등에서부터 화분, 휴대전화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장비가 수집한 대화 내용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아마존 웹서비스 사이트인 메커니컬 터크(Mturk, Mechanical Turk)로 전달된다. 온라인 노동시장인 메커니컬 터크 작업자들이 이 내용을 트위터로 올린다.
생산 단가가 우리 돈으로 10만원 남짓에 불과한데다 설치 방법도 매우 간단하다.
이를 개발한 맥도날드와 하우스는 이러한 장비들이 언제 어디서 우리를 감시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며, 이러한 장비의 개발과 정부의 활동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이러한 도청장치가 도서관이나 공공장소, 누군가의 침실에서 무엇을 파괴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면서 “만약 이 장비가 예술가에 의한 ‘작품’이 아니라 미국 정부에 의해 설치된 뒤 우리의 대화내용이 실시간으로 ‘트윗’ 된다면 어떻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는 ‘컨버스니치’로 하여금 사람들이 자신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길 바란다”면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우리의 모든 것이 녹음 또는 녹화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