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 중 하나는 비밀번호와 잠금장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비밀번호는 도용 위험이 높은데다 매번 헷갈리고 잊어버리기 쉬워 불편함이 많다.
최근 미국 러트거스대학, 독일의 막스프랑크연구소, 핀란드 헬싱키대학의 합동연구팀은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는 곡선 패스워드 시스템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연구팀은 “번호로 만든 패스워드는 주변 사람들이 곁눈질로도 충분히 알아볼 수 있다. 근래에는 휴대전화나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의 보안이 절대적으로 중요해졌는데, 기존의 번호 패스워드나 점을 따라 패턴을 만드는 패턴 패스워드는 보안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새롭게 개발한 보안 시스템은 곡선이나 그림 등으로 이뤄진 자유로운 형태의 동작으로 접근 허가를 인증 받을 수 있다.
곡선이나 특정 그림, 도형 등 형태 크기도 상관없다. 기존에는 스크린의 특정 지점에서만 터치 또는 패턴을 그려야 했지만 스크린의 위치도 패스워드를 지정하는데 전혀 제한이 없다.
연구팀은 이러한 패스워드가 얼마나 안전한지,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편의도가 높은지 테스트할 수 있는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63명에게 새로 개발한 ‘그림 암호’를 딱 한 번 지적하게 한 뒤, 10일 뒤 이 암호를 다시 기억해서 그리게 했다.
이후 이들의 손동작을 분석한 결과 사람들은 기존의 패스워드 방식보다 새로 고안한 ‘그림 패스워드’가 훨씬 정교하고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기억하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7명의 컴퓨터 공학 전공 학생들에게 실험 참가자들이 만든 ‘그림 패스워드’를 몰래 도용하게 만드는 미션을 줬는데, 이중 단 한 개의 패스워드라도 정확하게 ‘훔쳐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연구팀은 “손으로 스크린 어느 곳이든 상관없이 숫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도형을 만들 수 있다. 그것이 곧 자신만의 패스워드가 된다”면서 “상용화를 위한 마무리 연구에 열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관련 전문매체인 ‘phys.org’에서 소개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