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타임스 인도 판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정신과학과 연구진이 포르노 등 음란 영상물에 중독된 사람들의 뇌 활성화 패턴과 마약 중독자 뇌 활성화 패턴이 매우 흡사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은 평소 음란물을 자주 보는 강박성행동 장애 환자 19명과 음란물 관람 횟수가 비교적 많지 않은 건강한 신체의 실험 지원자 19명을 대상으로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에게 각각 짧은 길이의 음란 영상과 스포츠 영상을 교대로 보여주며 동시에 뇌 활성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지켜본 것이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를 통해 실험 참가자들의 뇌 혈류 산소 수준(blood oxygen level dependent)을 체크하던 연구진은 특이점을 발견했다. 음란물을 볼 때 강박성행동 장애 환자들의 뇌 활성화 패턴이 정상인 실험자들에 비해 활발하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의 뇌 부위 중 활성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곳은 배쪽줄무늬체(ventral striatum), 배측전대상피질(dorsal anterior cingulate), 편도체(amygdala) 등의 3군데였다. 주목할 만 것은 해당 부위가 주로 특정 욕망에 대한 갈구와 보상심리를 제어하는 기관으로 주로 마약 중독자들의 뇌에서도 유사하게 활성화되는 곳이라는 점이다.
본래 연구진은 음란물 중독자들이 평소 일상에서 성적충동을 참지 못하는 등의 행동패턴을 보이는 것이 마약 중독 증상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착안, 해당 실험을 진행했고 결과적으로 음란물 중독과 마약 중독이 뇌에 유사한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는 데이터를 얻어냈다.
이와 관련해 케임브리지대학 정신과학과 웰컴 트러스트 연구원 발레리 분 박사는 “음란물을 강박적으로 보는 행동을 지속하는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해당 행위를 반복하는 근본적 원인을 찾아야한다”며 “이 연구결과는 음란물 중독이 과식, 도박, 마약 중독과 유사한 패턴으로 뇌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서 음란물 강박증 치료법 찾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Journal pone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