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흠을 들춰내 헐뜯거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의 대화라는 의미로 결코 좋은 뜻이라 볼 수 없는 ‘험담(險談)’이 스스로에게는 좋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다는 이색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의학전문매체 메디컬 엑스프레스는 네덜란드 그로닝겐 대학교(University of Groningen) 경제·경영학과 연구진이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험담 또는 뒷소문을 공유할 때, 남의 상황을 거울삼아 스스로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어떻게 개선해야하는지 알아내는 등 개인 심리적 측면에서 유용한 영향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연구진은 타인에 대한 험담에서 야기되는 뒷소문에 따라 변화하는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연구진은 일정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타인에 대한 좋지 않은 내용의 소문, 긍정적 내용의 소문을 각각 듣도록 상황을 유도한 뒤 ‘본인 개선 부문’, ‘본인 심리 방어 부문’, ‘본인 홍보 부문’ 등 총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더불어 해당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일정 직업적 역할(물건 판매원)을 맡게 한 뒤, 가상 상황에서 타인의 좋은 혹은 나쁜 뒷소문을 들었을 때, 이에 대한 본인 행동이 어떻게 나올지 예상 안을 구성하도록 했다.
총 2가지 실험이 종료된 후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종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가자들은 험담 또는 뒷소문에 참여할 때 남의 흉만 보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혹시 자신에게는 문제가 없는지 되돌아보는 경향이 강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적인 내용의 뒷담화를 들었을 때 참가자들은 해당 내용 속 타인의 행동을 연구해 스스로의 모습 또한 발전시키려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타인에 대한 좋지 않은 뒷담화를 들었을 때는 스스로에 대한 방어나 자신을 합리화시키는 태도를 공고히 했다.
이는 심리적으로 남에게 좋지 않은 여론이 형성됐을 때 자신의 가치를 높이면서 한편으로는 ‘나 또한 이렇게 안 좋은 말을 뒤에서 듣는 것 아닌가?’하는 걱정이 구체적 행동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두번째 역할 실험 결과는 이를 보다 뚜렷하게 보여준다. 물건 판매를 하다 타인의 매출기록이 높다는 긍정적인 뒷소문을 들었을 때 참가자들 또한 목표매출액을 높이고 발전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누군가가 매출이 좋지 않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목표매출액을 다소 낮추는 등 다분히 방어적인 전략을 취했다.
해당 실험은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달라지는 심리 형태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남성들은 타인에 대한 긍정적 뒷소문을 들었을 때 스스로를 혁신해야한다는 강박관념과 위기감을 많이 느꼈고 여성들은 부정적 소문에 특히 민감히 반응하며 자기 보호적 자세를 많이 취했다.
연구를 주도한 그로닝겐 대학교 경제·경영학과 엘레나 마르티네스크 교수는 “사람들은 타인의 뒷담화를 통해 험담 자체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이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개선책을 찾는 용도로 활용했다”며 “다만 긍정적 뒷담화가 자기 개발적인 긍정적 효과가 강했다면 부정적 뒷담화는 자기방어와 같은 소극적 태도유발에만 집중했다. 또한 긍정적 뒷담화 일지라도 남성의 경우는 오랜 시간 후 이를 위기감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뒷담화에 대해서는 다분히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을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람들의 뒷담화가 근본적으로 사회생활에 있어서 스스로의 방어기제를 찾는 심리적 행동임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뒷담화를 사회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한 사례는 이전에도 존재한다. 영국 멘체스터 대학 심리학 연구진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뒷담화는 일정 단체의 구성원들이 특정 대상에 대한 비판을 함께 하면서 친목과 단합을 유지하려는 사회적 욕구에 기반한다.
그 중, 특히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한 뒷담화가 많은 이유는 그만큼 자신이 사회적인 관심과 폭넓은 공감대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공고히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한 뒷담화를 이용한다는 뜻이다. 결국 이것도 사람들이 자기방어적 측면에서 뒷담화를 이용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인성과 사회심리학 회보(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에 게재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