칫솔과 치약은 물론 치과 전문의마저 없던 고대인들보다 현대인에게서 잇몸병이 훨씬 더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낸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KCL) 프란시스 휴즈 교수팀이 지금으로부터 약 1600~1800년 전(서기 200~400년)쯤에 사망한 영국 성인 303명의 두개골을 조사한 결과, 심각한 치주염을 앓았던 이들은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늘날 영국 성인 15~30%가 치주염에 시달리는 것과 비교하면 가벼운 수준이다.
조사에 쓰인 두개골은 잉글랜드 남부 파운드베리 묘지에서 출토돼 영국 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오늘날 영국인들의 기원인 앵글로-색슨족의 것이다.
치주염과 같은 잇몸 질환은 치석과 플라크에 의한 만성 염증으로 칫솔 없이 막을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왜 고대인들에게는 이런 플라크가 적었는가에 대해 연구팀은 의문을 가졌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오늘날 사람들은 흡연 등의 생활습관과 당뇨병으로 나타나는 나쁜 식습관으로 구강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잇몸병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고대인보다 현대인의 구강이 훨씬 불결해 양치질해도 안 될 정도로 구내 환경이 악화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양치질이 필요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고대인에게서는 잇몸에 감염이나 농양의 흔적이 많았고 조사 대상자의 절반에게서 충치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또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수명은 40대 정도였지만, 어렸을 때부터 치아의 마모가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곡물을 먹던 당시의 식생활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치과저널’(British Dental Journal) 24일 자로 게재됐다.
사진=ⓒ포토리아(위), 영국 치과저널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