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내에서 가장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꼽혀온 타이탄의 바다 모습을 담은 선명한 사진이 공개됐다.
최근 미국 칼텍 공대 카시니호 레이더팀 안토니 루카스 박사는 과거 공개된 사진보다 훨씬 선명한 타이탄 바다의 모습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 사진은 과거 미 항공우주국(NASA)의 카시니호(號)가 촬영한 사진을 새로운 기술로 보정한 것이다.
사진 속 바다는 타이탄에서 두 번째로 큰 ‘리지아 바다’(Ligeia Mare). 한 눈에 보기에도 과거보다 훨씬 선명한 화질을 갖게된 것은 프랑스 연구팀이 개발한 소위 '얼룩제거'(despeckling)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이미지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카시니가 무선전파를 타이탄에 반사시켜 그 표면을 이미지화 하는 것과 관계가 깊다.
루카스 박사는 "반점 만한 노이즈 하나라도 사진 판독에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면서 "이 기술은 장차 타이탄을 탐사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정확한 자료를 얻는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들어 타이탄은 언론의 주목을 듬뿍받고 있다. NASA 측이 본격적으로 타이탄 탐사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최근 NASA는 “오는 2040년 내에 타이탄에 1톤 규모의 잠수함을 실은 로켓을 발사할 계획을 갖고있다”고 발표했다. 마치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이같은 프로젝트는 제법 현실성이 높다.
NASA는 이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실제 타이탄을 누빌 ‘우주 잠수함’ 의 콘셉트 디자인도 함께 공개했기 때문이다. 커다란 안테나가 장착된 이 잠수함은 자체 추진체로 초당 1m를 운행하며 -179 °C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
그렇다면 왜 NASA는 현재 화성에서 탐사 중인 큐리오시티같은 로버에 만족하지 못하고 타이탄에 잠수함까지 보내는 것일까? 이는 타이탄의 ‘특별함’ 때문이다. 그간 타이탄을 탐사해 온 카시니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타이탄 표면에는 ‘리지아 바다’를 포함 서로 분리된 3개의 바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타이탄의 바다는 물로 이루어진 지구와는 달리 액체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같은 특성 때문에 태양계의 어떤 천체보다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주목 받아왔다.
NASA 측은 “잠수함의 탐사지는 타이탄에서 가장 큰 ‘크라켄 바다’(Kraken Mare)로 깊이가 대략 300m로 추정된다” 면서 “전기 추진 방식으로 90일 이상 바닷속을 샅샅이 조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토성의 최대 위성인 타이탄은 위성으로는 특이하게 대기가 있으며, 이 성질이 원시지구의 대기와 유사해 지구 생명 탄생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