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필레"
지난해 11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이하 67P)에 불시착한 후 현재 잠자고 있는 필레를 깨우기 위한 과학자들이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최근 유럽우주기구(ESA) 측은 "현재 혜성 67P 궤도를 돌고있는 로제타호를 통해 지속적으로 필레에게 신호를 보내고 있다" 고 밝혔다. ESA 측의 애를 태우고 있는 탐사로봇 필레는 지난해 11월 12일 로제타호에서 분리돼 사상 처음으로 혜성 표면에 내려 앉았다.
그러나 태양빛을 에너지로 삼는 필레가 그늘에 불시착하면서 인류의 첫 혜성 착륙 시도는 절반의 성공으로 끝났다. 문제는 필레에 탑재된 배터리 지속 시간이 60시간에 불과하다는 점. 이에 필레는 태양빛을 조금이라고 더 받기위해 몸체를 35도 회전시키며 기를 썼지만 결국 배터리 방전으로 휴면상태에 들어갔다.
최근들어 ESA 측이 다시 필레를 깨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혜성이 태양과 가까워졌기 때문이다. 필레 프로젝트 매니저 스테판 올맥 박사는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현재 필레는 2배 정도 햇빛을 받고있다" 면서 "깨우기에는 아직 부족할지 모르지만 그래도 시도해 볼 만 하다"고 밝혔다. 이어 " 현재 혜성 67P와 태양과의 거리는 약 3억 km로 통신만 재개되면 '필레의 모험'은 다시 시작될 것" 이라고 덧붙였다.
이에반해 지난 10년 간 무려 64억 km를 쉬지않고 날아간 로제타호는 현재 혜성 67P의 궤도를 돌며 지금도 생생한 표면 사진을 지구로 전송하고 있다. 얼마 전에도 로제타호는 과거 물이 흐른 것 같은 물결 무늬를 담은 혜성 표면의 사진을 촬영한 바 있다.
한편 ESA가 우리 돈으로 2조원 가까이 들여 멀고 먼 혜성에 우주선을 보낸 이유는 약 46억년 전 태양계 형성 시 생겨난 잔해들로 혜성들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ESA 과학자 데트레프 코츠니 박사는 “혜성의 구성 성분이 46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와 거의 일치해 지구 생명의 기원 등 많은 실마리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