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에게도 ‘자유의지’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뉴욕의 록펠러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기생충의 일종이자 이번 연구에 쓰인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은 총 302개의 뉴런과 7000여개의 시냅스(뉴런과 뉴런 또는 뉴런과 다른 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독특한 신경조직의 영향으로 인간처럼 ‘판단’과 ‘생각’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860억 개의 뉴런과 100조개의 시냅스를 가진 인간의 뇌처럼 고등적인 사유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특정 냄새를 맡으면 회충이 스스로 ‘생각’한대로 판단하고 행동을 할 수 있다. 때문에 같은 상황이 주어져도 각각의 회충마다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예컨대 회충 한 마리에게 2회에 걸쳐 ‘맛있는 냄새’를 맡게 하자 1차 실험에서는 냄새의 근원을 탐색하는 모습을 보인 한편, 2차 실험에서는 냄새를 인지하고서도 행동이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상황 또는 외부의 상황을 고려하고 스스로 행동을 판단한다는 것.
연구진은 “같은 자극제에 언제나 같은 결론이 나지 않는 인간처럼 회충 역시 비슷한 성향을 가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회충에게도 ‘자유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코리 바그만 박사는 “회충은 평소 먹을 것을 찾아다니며 무작위로 움직이다가 먹잇감의 냄새를 맡으면 무작위로 움직이던 것을 멈추고 냄새가 나는 쪽을 향해 움직인다. 하지만 때로는 뉴런이 냄새를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충은 무작위로 움직이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이어 “회충의 신경계는 단순히 수동적·소극적으로 외부에서의 자극제로부터 오는 신호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중요도에 따라 그들만의 행동 패턴에 따라 움직인다”면서 “뿐만 아니라 각각의 뉴런이 결합하고 변하는 등 가변성을 통해 특유의 역할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록펠러대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