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오래전, 지구 상에 살았던 어떤 박쥐는 커다란 몸집 때문에 ‘걸어 다녔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뉴질랜드 뉴사우스웨일스대(UNSW) 등 연구진이 뉴질랜드 남섬 오타고 중부 지역 근처에 있는 선사시대의 호수 퇴적층에서 발견된 화석에서 고대 박쥐를 확인했다.
이 신종 박쥐는 현생 근연종보다 몸집이 3배나 커 날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지금으로부터 약 1600만 년 전인 신생대 중신세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신종 박쥐(학명: Mystacina miocenalis)는 현재 뉴질랜드 원시림에 서식하는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학명: Mystacina tuberculata)의 근연종이라고 한다.
연구를 이끈 수잔 핸드 UNSW 교수는 “짧은꼬리박쥣과(Mystacina)에 속하는 이 박쥐가 1600만 년 이상 동안 뉴질랜드 섬에서 거의 변하지 않은 식물과 먹이가 있는 서식지에서 살아온 것이 이번 발견으로 처음 밝혀졌다”고 말했다.
논문에 따르면, 뉴질랜드 고유의 육상 포유류는 박쥐 3종뿐이다. 그 중 2종이 짧은꼬리박쥣과에 속하며, 이들은 발목과 다리를 사용해 지상을 이동할 수 있다.
지금까지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짧은꼬리박쥐과 박쥐 화석은 남섬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된 1만 7500년 전의 것이었다. 이들은 호주에서 이주해온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고대 박쥐는 과즙과 꽃가루, 열매, 곤충, 거미 등 현생 근연종과 거의 같은 것을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들은 추정몸무게가 40g으로, 현생 근연종보다 3배나 무거웠다. 이런 점에서 연구진은 이들 박쥐가 비행 사냥을 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
핸드 교수는 “박쥐는 어둠 속에서 벌레를 쫓을 때 작은 몸으로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이 필요하다”며 “그런데 고대 박쥐의 몸 크기로는 비행과 반향정위(echolocation, 초음파를 발사해 반사된 것에 따라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를 하는데 물리적으로 제약이 따른다”고 설명했다.
또 “이런 비정상적인 큰 몸은 이들이 비행 사냥을 덜 했으며, 심지어 현생 근연종보다 무거운 먹이와 큰 열매를 지상에서 얻을 수 있었던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