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짐바브웨 국민 “‘세실’로 웬 호들갑...우린 마실 물도 없는데”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세실을 사냥한 월터 팔머를 성토하는 시위에 사용된 피켓. “월터 박사님, 왜 세실을 죽였나요?”라고 쓰여 있다.
ⓒ AFPBBNews=News1


짐바브웨의 ‘국민사자’ 로 알려진 ‘세실’의 어이없는 죽음이 미국인 등 세계인들 사이에서 공분을 자아내고 있는 가운데, 정작 짐바브웨의 국민들은 이런 과도한 관심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져 관심을 끌고 있다

30일(이하 현지시간) 경제전문지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 외신은 AP통신의 현지 인터뷰를 인용, 세실의 죽음을 둘러싼 짐바브웨 국민들의 생각을 전했다.

짐바브웨의 명물이자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기도 했던 사자 세실은 미국인 치과의사 월터 제임스 팔머에 의해 사냥 당했다. 이에 팔머는 트위터 등 SNS상에서 네티즌들의 무수한 비난을 받고 있다. 지난 29일에는 100여 명의 시민들이 그의 병원을 직접 찾아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짐바브웨의 현지인들은 사자의 죽음에 안타까움을 표하면서도, 미국인들이 가지는 관심의 방향과 강도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인 것으로 보인다.

짐바브웨 수도 하라레에 살고 있는 주민 유니스 뷰니즈는 “(세실의 죽음은) 잔인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정도로 격한 반응이 일어나는 이유는 이해할 수 없다”며 “나도 어린 시절 세실을 직접 봤었고, 세실의 죽음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그렇지만 분명 (외국인들의) 관심은 지나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에 의하면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만한 문제는 따로 있다. 짐바브웨에서는 지난 몇 년 간 이루어진 경제 붕괴로 인해 수많은 회사가 도산했으며, 전체 국민의 3분의 2가 비공식적 경제(informal economy), 즉 공식적 고용구조 밖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심각한 자원 부족도 중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뷰니즈는 “짐바브웨에는 식수부족, 전기에너지 부족, 일자리 부족 등 다른 수많은 긴급한 문제가 산재해 있는데, 사자의 죽음에만 갑작스런 관심이 쏟아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인터뷰를 요청받은 다른 하라레 시 주민 중 많은 사람들은 세실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들어본 적조차 없으며, 그런 사실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짐바브웨 당국 역시 팔머를 기소하거나 범죄인 인도를 요구하는 대신 팔머와의 대담 기회만을 제공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유엔은 30일 총회를 통해 야생동식물의 밀렵과 불법거래를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국제 사회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는 유엔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 총회는 이날 독일, 가봉 등 70여개 국이 공동 발의한 ‘야생 동·식물의 불법 밀거래 차단 결의안’을 193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은 야생 동·식물의 불법거래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확실한 조치를 취할 것을 회원국에 촉구했다.

사진= ⓒ AFPBBNews=News1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3500년 전 매장된 ‘잘린 손 12개’ 비밀 밝혀졌다
  • 3세 여아 강간·살해한 男…“산 채로 사지 부러뜨리고 버렸다
  • “러·북한 지지한다”…77명 살해한 노르웨이 살인마, 머리에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10대 남녀, 두바이서 ‘사랑’ 나눴다가 징역 20년형 위기
  • “역사상 최초”…털까지 완벽 보존된 3만5000년 전 ‘검치
  • 부하도 고문하는 악명높은 러 장군, 우크라 드론 공격에 전사
  • “윤석열 대통령과 비교된다”…日총리, 외교 무대서 ‘국가 망
  • ‘영구적 발기부전’ 후유증 男에 보상금 5760억원…“역사상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