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걸작을 남긴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창조력이 어쩌면 마약에서 나온 것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돼 문학계와 과학계의 관심을 동시에 받고 있다.
영국 미러 등 외신은 7일(현지시간)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연구팀이 셰익스피어 생가의 앞마당에 묻혀 있던 담배 파이프를 분석, 대마초 성분을 확인하고 이 같은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을 통해 영국 스트래퍼드 어폰 에이번(Stratford-upon-Avon) 지역의 셰익스피어 생가에서 발견된 도자기 파이프 4개에서 대마초 성분을 찾아냈다. 이웃집에서 발견된 파이프에서는 또 다른 마약류 식물인 ‘코카’(coca)를 태운 흔적도 발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당시에는 지금과는 달리 대마초를 피우는 것이 범법행위가 아니었다. 셰익스피어가 살았던 엘리자베스 시대에 코카와 대마초는 담배의 일종으로 분류됐고 보편적 기호품이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 당시 대마초는 이미 유럽에서 수세기동안 소비돼온 상황이었고 코카는 남미에서 들어와 새로운 유행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연구를 이끈 프랜시스 새커리 교수는 셰익스피어가 보다 강력한 마약인 코카 사용을 지양하고 대마초만을 즐겼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한다. 그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실제로 이를 암시하는 대목이 있다고 주장했다.
셰익스피어는 '76번 소네트'에서 유행에 맞는 ‘신선한 표현’(compounds strange)을 사용하지 못하고 마치 ‘구식 옷’(noted weed)을 입은 것 같은 시를 쓰는 자신을 책망하고 있다.
영단어 ‘compounds’는 화학적 혼합물, ‘weed’는 대마초를 의미하기도 한다. 새커리 교수는 이 표현이 새로운 마약 유행을 따르지 않은 채 대마초만을 즐겨 피우는 자신의 모습을 빗댄 일종의 언어유희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새커리 교수는 “셰익스피어는 코카의 강력한 영향에 대해 알고 이를 기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남아공 과학 저널’(South African Journal of Science)에 소개됐다.
사진=데일리메일캡처(좌)/ⓒ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