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이하 67P) 혜성이 오는 13일 태양에 가장 가까운 곳인 ‘근일점’을 통과할 예정인 가운데,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근일점 이벤트’와 관련한 정보를 속속 전달하고 있다.
유럽우주국(ESA) 전문가들은 혜성과 태양이 가장 가까워지는 때인 근일점에 근접하면서 이미 67P 내부에서는 다양한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67P 혜성이 태양에 근접하면서 태양 열기로 인해 얼음이 증발(승화)하고 혜성 내부에서 가스 기류가 분출한다. 쉽게 말해 일종의 폭발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폭발은 매우 강력해서 혜성을 향해 다가오는 태양풍을 밀어낼 정도다.
마치 폭죽이 터지는 것과 비슷한 이 현상은 지난달 29일 발생했으며, 로제타가 67P 혜성으로부터 186㎞ 떨어진 상공에서 다양한 장비를 통해 이를 포착하고 데이터를 전송했다.
로제타에 장착된 카메라인 오시리스(OSIRIS)의 데이터에 따르면 67P 혜성 포면에서 발생한 폭발로 다량의 가스와 먼지가 생성됐으며, 태양풍에 섞인 고에너지 입자 기류가 67P 혜성 상공을 에워쌌다.
이 기류는 초당 10m 혹은 이보다 더 빠르게 상공에서 이동하며, 이러한 현상은 근일점에 근접할수록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독일 최대 과학기술 연구기관인 막스 플랑크 연구소 산하 태양계 연구팀(Solar System Research)의 오시리스 팀 소속인 카르스텐 귀테르 박사는 “이번에 오시리스가 포착한 기류는 지금까지 67P 혜성에서 포착한 것 중 가장 밝은 빛을 띤다”면서 “일반적으로 우주에서의 기류는 비교적 희미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보정하는 작업을 거쳐야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것은 핵폭발로 발생하는 기류보다 훨씬 밝은 빛을 띤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보다 더 극적인 근일점 이벤트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오리 모양을 한 67P 혜성이 치솟는 내부온도로 인해 폭발하면서 일명 ‘목’ 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67P 혜성의 목 부위는 폭이 1㎞ 정도이며, 만약 실제로 이 부위의 파열이 발생하면 로제타가 이와 관련한 생생한 이미지를 전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현재 67P 혜성 표면에 잠들어 있는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로봇 ‘필레’는 근일점에 맞춰 로제타와 함께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엿볼 예정이다. ESA 전문가들은 이번 근일점이 태양열을 충전하기에 좋은 시기로서, 로제타호를 움직여 필레를 수직으로 세운 뒤 충전에 용이하도록 만드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