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선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등산이나 골프 등 야외 레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건강을 위해 시작한 운동이지만, 잘못된 자세로 운동하거나 운동량이 과도하면 자칫 회전근개 파열이나 오십견 등 어깨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연령대와 관계없이 어깨통증이나 결림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깨 관절을 지탱하고 움직이게 하는 어깨 힘줄인 회전근개에 이상이 발생하면, 머리를 빗거나 어깨 위로 물건을 드는 동작 등 가벼운 활동에도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것을 회전근개 파열이라 한다.
과거에는 5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했으나 스포츠 인구의 증가와 잦은 스마트폰 사용, 스트레스와 과로 등 다양한 이유로 20~30대 젊은 층에서도 어깨통증 환자가 많아지는 추세다.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회전근개 파열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흔히 수술적인 방법이 적용된다. 하지만 상당수 환자가 수술을 하기 위해 이뤄지는 전신마취와 혹시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부담감으로 수술 진행을 거부하게 된다. 이런 고민으로 어깨수술을 미루고 있다면 해당 부위만 마취하는 ‘관절 내시경 수술’을 고려해볼 만하다.
타 병원과 달리 부위마취로 어깨수술을 진행하고 있는 인천 정형외과 성모윌병원 정현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에 따르면, ‘관절 내시경 수술’은 특수렌즈와 비디오카메라가 장착된 직경 2~5mm의 관절경을 1cm 미만의 피부 절개를 통해 관절 안에 삽입하여 관절내부를 직접 보면서 관절 내 병변을 진단하는 동시에 이물질과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으로도 파악하지 못한 질환의 상태까지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절개 부위가 작아 통증이나 상처 등 수술 후유증에 대한 부담감도 적다. 기존 어깨수술과 달리 전신마취가 아닌 부위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빠른 퇴원이 가능하며, 환자와 보호자가 느끼는 거부감도 덜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정현우 원장의 말이다.
관절 내시경은 회전근개 파열 외에도 오십견, 석회선 건염, 퇴행성 관절염, 습관성 탈구,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어깨 및 무릎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다만, 연골이 완전히 닳아 없어진 경우에는 관절 내시경 수술이 불가능하다.
성모윌병원 최광천 원장도 “전문의가 환자의 어깨 및 무릎 상태를 정확히 진단한 후 수술방법이 결정된다”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관절 내시경 수술 등 관절치료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지닌 전문의를 만나느냐에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최광천 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어깨통증이나 결림이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에 방치하는데, 이는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자가진단을 하기보다는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