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에 HRD(인적자원개발) 개념이 학문적으로 도입되어 기업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초기 HRD는 직업 훈련과 직무 위주의 특정 기술 중심의 교육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주체는 교육생 중심이 아닌 가르치는 사람 중심이었으며 계획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전달식 교육 위주의 HRD였다.
1990년을 지나 2000년대에 이르러 HRD는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시도했고, 마침내 학습의 주체가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인포멀 학습과 조직 학습 등 개인의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에서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지식을 협동적으로 학습하는 고차원적 학습이 HRD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특히 이 시기에는 리더십, 조직 문화,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HRD의 영역이 본격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최근 학습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성찰적 고민이 시작되었다. 직무나 업무에 대한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개인과 조직의 지속적인 성과지향을 위한 HRD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모든 학습은 개인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조직은 다양한 개인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때, 개개인의 조직원들을 이해하지 못하고는 건전한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없으며, 조직원들의 몰입을 통한 성과도 기대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 경험에 의한 의사 결정보다는 개인의 심리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과학적 준거에 기반을 둔 의사 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한 가지 예로 뇌 공학 기반을 들 수 있다.
이는 개인에 대한 이해는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는 심리 상태이기 때문에 뇌 공학적 이해를 통한 보다 정확한 접근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뇌 공학을 기반으로 개인의 심리상태, 욕구상태, 불만의 이유 등을 정확하고 명확한 과학적 근거로 판단하여 개인이 학습 준비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에 있어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리더십, 의사 결정 과정, 조직원의 몰입 유도 등 HRD의 주요 전략적 실행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사와의 대화 속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암을 유발 하는 호르몬을 발생 시킨다는 뇌 공학적 의견이 있다. 이것은 조직원의 업무 몰입을 저하 시키고, 집중을 방해 하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뇌를 편안하게 하는 공감 의사소통 방법을 도입하고, 긴장 호르몬 유발을 억제 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 해준다면 대인관계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업무에 대한 효율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채용부터 조직전략까지, 준거기반 HRD를 활용하자.
이제 우리에게 빅데이터라는 용어는 더 이상 생소한 것도, 새로운 것도 아니다. 하지만 예전보다 HRD 분야에서의 빅데이터는 더 이상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빅데이터가 필요 없어서일까? 아니다. 빅데이터는 활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HRD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재가 없기 때문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고 깊은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데 이는 HRD 담당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은 영역이다. 하지만 빅데이터 분석이 아닌, 데이터 기반 HRD에는 충분히 활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재 선발과 조직원 retention 등과 같은 HRD 활동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면 대략 5년간의 신입사원들의 프로파일링과 퇴사에 관련된 자료만 분석해도 조직의 인재 선발 기준을 과학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소통 기반 인성교육은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첫 걸음이다.
조직은 평균적으로 1년에 4번의 조직 변화를 시도한다고 한다.
과연 조직의 개발과 변화는 누구를 위한 변화 시도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조직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한 변화 시도는 현재 업무 과정과 조직문화를 더욱 혼돈에 빠지게 할 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요즘 HRD 분야에 기초 인성교육이나, 공감, 인성 교육이 많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성과 지향적 조직 문화와 HRD 패러다임의 변화가 만들어 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조직은 조직원들의 문제에 공감하고, 조직원들은 기본 인성과 소양 교육을 통해 서로 소통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발전 전략 방향을 수립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변화를 예전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만 고집 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예전 것들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조직을 더욱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조직진화” 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조직은 조직원들의 예전 모습을 인정하고, 그들과의 공감을 통해 조직원들을 진화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를 정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송지훈 교수(한양대학교)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인적자원개발학과 교수 (2008-2012)
-미국 University of North Texas 인적자원개발학과 교수 (2012-2014)
-한양대학교 교육공학 전공 학사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인적자원개발 전공 석사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인적자원.조직개발 전공 박사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