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독일출신의 사진작가 커스틴 랑젠버거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개한 북극곰 사진 한 장이 세계적인 충격을 던졌다.
뼈만 앙상하게 남아있는 북극곰 한 마리가 빙하 위를 힘겹게 걷는 모습이 담겨있었기 때문이다. 북극 스발바르 제도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전세계 언론이 보도할 만큼 파장이 컸다.
당시 커스틴은 "통통한 북극곰 모자(母子)도 봤지만 사진처럼 끔찍하게 마른 곰들도 목격했다" 면서 "이는 지구 온난화 때문으로 얼음이 빠른 속도로 녹고있다" 며 환경보호를 촉구했다. 이후 이 북극곰 사진은 지구 온난화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이 됐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에대한 전문가들의 다른 주장이 제기됐다. 캐나다 알버타 대학 북극곰 연구원 이안 스털링 박사는 "이 북극곰은 늙고 다쳐 병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미 지질조사국 생물학자 카린 로드도 "사진에 오해가 소지가 있는 것 같다" 면서 "사진 속 북극곰 같은 케이스는 대부분 다치거나 혹은 늙어 송곳니가 빠진 것" 이라고 밝혔다.
국제 비영리 연구단체인 북극곰 인터내셔널 스티븐 암스트럽 박사도 "야생에서 앙상한 북극곰을 목격하는 것은 그리 희귀한 일은 아니다" 면서 "북극곰의 경우 천적이 없기 때문에 늙거나 다치면 사냥을 못해 아사한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지구 온난화가 북극곰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진 속 북극곰이 앙상한 이유는 늙고 병든 것이 주 원인으로, 온난화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과장이라는 설명.
지구 온난화가 북극곰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해빙의 면적이 작아지면서(녹으면서) 영양분이 풍부한 물개 등을 사냥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북극곰은 물개가 얼음 구멍으로 숨을 쉬기위해 올라오는 순간을 기다리다 번개처럼 사냥한다. 이 때문에 북극곰은 평소에는 거들떠보지도 않던 바닷새의 알도 주요 먹이로 삼기 시작했다.
지난해 미 지질조사국과 캐나다 환경부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북극곰의 개체수가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극곰 주요 서식지인 보퍼트해 해역의 개체수를 조사한 이 연구에서 북극곰은 2004년 1600마리에서 2010년 900마리로 줄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