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심한 요즘같은 날씨에 감기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대체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나 노인, 스트레스와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은 감기보다 독한 독감 바이러스의 공격 대상이 되기 십상이다.
특히 지하철이나 버스, 사무실 등 밀페된 공간에서 독감 바이러스 보유자가 재채기를 할 경우, 바이러스가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해외 연구진은 재채기를 할 때 바이러스가 전파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인체 기관을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마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의 연구에 따르면 감기 바이러스가 주로 ‘서식’하는 신체 기관은 바로 연구개다. 입천장에서 비교적으로 연한 뒤쪽 부분을 칭하는 연구개는 여린입천장, 구개범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연구개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 염증은 재채기와 기침 등을 유발한다. 재채기와 기침은 공기를 통해 타인에게 전파되면 감염자가 늘어나는 원리다.
일반적으로 독감 바이러스 표범에는 해마글루티닌(HA)이라는 단백질 분자 돌기가 있으며, 이 돌기는 끊임없이 변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인간과 구강구조가 비슷한 족제비과 포유류인 흰담비(ferret) 수 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흰담비의 연구개에서 변형된 바이러스가 염증으로 인한 재채기를 유발하며, 이것이 주변으로 전파되면서 일반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를 미리 예측하고 전염병 유행을 막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