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자본에 저항하기 위해 거리로 직접 나서는 시민들은 주변의 존경을 받는다. 하지만 사회적네트워크시스템(SNS)에서 정치적 의사를 밝히는 사람들은 종종 조롱의 대상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SNS 저항운동’ 또한 나름의 긍정적 효과를 지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미국 아넨버그 통신대학교와 뉴욕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슬랙티비즘’(Slactivism, 실제 행동 없이 소심하고 게으르게 이루어지는 저항운동을 일컫는 단어)의 긍정적 역할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슬랙티비즘이란 게으른 사람을 뜻하는 영단어 ‘슬래커’(Slacker)와 행동주의를 뜻하는 ‘액티비즘’(Activism)을 조합해 만든 합성어다. SNS를 통해 사회운동을 부추기면서도 정작 스스로는 행동에 나서지 않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용어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팀은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일어났던 사회운동 관련 트위터 글들을 모아 연구한 결과, 이런 ‘슬랙티비스트’들 역시 사회운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11년 미국에서 시작됐던 ‘월가 점령운동’, 2012년 스페인 ‘인디그나도스’(Indignados) 운동, 2013년 터키의 ‘게지 공원’(Gezi Park) 운동 등 최근 몇 년 사이 전 세계에서 일어난 저항운동에 관련된 트윗을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각 트윗이 업로드 될 때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분석, 실질적으로 운동현장에 함께 나섰던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트윗을 서로 구분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사결과, 슬랙티비스트들은 저항 운동에 물리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신 해당 운동의 확산 범위를 두 배로 확장해주며 시위에 실제로 나선 운동가들이 국제적 관심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를 이끈 아넨버크 통신대학교 산드라 곤잘레스-바일론 교수는 “(시위에 직접 참여하는) 헌신적인 소수 운동가들에 비해 방안에 앉아 편안히 SNS 메시지만을 남기는 덜 영웅적인 온라인 지지자들은 많은 비난을 받는다”며 “이는 (과거와 달리) 현대 미디어환경 속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활동이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실수”라고 설명했다.
박사는 이어 “SNS를 통해 저항을 하는 것은 거리에 직접 나가 목숨을 거는 것과는 물론 다르다”면서 “그러나 목숨을 걸고 있는 사람들이 국제적인 관심을 얻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