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다고 해서 오래 살거나 불행하다고 해서 일찍 죽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 베트 리우 교수가 이끈 연구진이 영국 여성 71만 9671명을 대상으로 10년 가까이 추적 관찰한 결과, 행복도와 모든 원인의 사망률의 관련성은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먼저 참가자들에게 ‘얼마나 자주 행복을 느끼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거의 항상’(39%)과 ‘대부분’(44%)이라고 답한 이들은 ‘행복한 사람’으로 분류하고 ‘때때로·드물게·느끼지 않는다’(17%)고 답한 이들은 ‘불행한 사람’으로 분류했다.
이어 두 그룹을 단순 비교한 결과, ‘불행한 사람’으로 분류된 이들은 ‘행복한 사람’으로 분류된 이들보다 모든 원인의 사망률이 29%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만 보면 역시 행복하면 오래 산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연구진은 한층 더 나아갔다.
그 이유는 ‘불행한 사람’ 대부분이 원래 건강 상태에 관한 질문에서 ‘좋지 않다’고 답하는 경향이 컸기 때문이다. 즉, 29%는 행복도가 아니라 건강상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컸다는 것이다.
이에 연구진은 통계 데이터에 사회적·경제적 지위, 운동·수면 습관, 동거(결혼) 여부, 종교 유무 등 건강과 생활의 만족도와 관련한 요소를 추가했다.
그 결과, 행복도는 모든 원인의 사망률과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건강이 나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모든 원인의 사망률이 67% 더 높은 것도 밝혀졌다. 건강이 나쁘면 불행하고 조기 사망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행복감이 사망 위험을 좌우하는 요인이 될 수는 없지만, 건강이 나쁘면 수명이 줄어들 확률과 ‘불행한 사람’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높다는 것.
생활의 만족도와 수명을 비교한 비슷한 연구(2011년)에서도 ‘불행한 사람’의 수명은 ‘행복한 사람’보다 4~10년 정도 짧았다. 그렇다고 그 반대인 ‘행복하므로 수명이 늘어난다’는 이론을 증명할 만한 데이터는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리우 교수는 “불행하다는 생각이 건강을 악화시킨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지금까지 나온 연구결과의 인과관계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면서 “불행감은 흡연과 음주 등의 생활 습관 인자와 관련하며 이런 인자가 간접적으로 건강상태를 악화시켰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랜싯’(The Lancet) 최신호(12월 9일자)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